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d라이브러리
"
적은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反)그리스도 숫자 666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히틀러와 교황 레오10세 그리고 컴퓨터에 666을 연루시키고 있다. 풀어보고(1) 666이란 숫자는 레크리에이션수학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선 그 기원이 성경에 있다는 점이 관심을 끈다. 이 숫자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해석을 해 왔고 현재도 색다른 해석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최근 ... ...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컴퓨터바이러스는 예방 및 치료법만 정확히 알면 그다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3월 한달동안 컴퓨터사용자들은 두차례나 '바이러스공포'에 전전긍긍해야 했다. 3월 6일에 활동을 개시하는 미켈란젤로바이러스와 13일과 금요일이 겹치는 3월 13일에 발현하는 예루살렘바이러스가 각 신문과 방송에 대대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핵분열이 언덕에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이라면 핵융합은 비탈을 올라가는 것이다.우리가 늘 숨을 쉬면서도 공기의 존재를 거의 의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불로 대표되는 각종 에너지의 고마움을 느끼며 사는 경우란 흔치 않다. 새로운 에너지를 개발하려는 노력없이 50년 쯤 보낸 후 맞게 될 미래의 ... ...
과학수업이 입시와 교과서라는 틀에만 묶여있어야 합니까?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문과학생들에게 과학적으로 깊은 지식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들도 사회에 나가면 필연적으로 과학과 관계를 맺게 된다는 양면성을 갖는다.이과학생들보다 수학과 과학에는 일반적으로 흥미를 덜 느껴서 문과를 택한 학생들을 가르쳐 본 적이 있다.1학년과 이과학생들을 가르칠 때의 자신만만 ... ...
Genes In Action 활동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필자는 유전학적 체질이 되지 못하여 유전학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는 내용들을 계속 이해하며 따라간다는 것은 필자에겐 대단히 힘든 일이다. 그러나 이 분야는 급속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므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최근 진행되고 있는 몇가지 연구사례를 들어가며 설명하는데 최선을 다해볼까 한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IBM PC와 도스(MS-DOS)로 상징되는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동반자 관계는 이제 끝났고, 윈도우를 차세대 운영체제(OS)로 하려는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IBM은 애플 모토롤러와 손잡고 강력한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세계 컴퓨터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열강들의 움직임이 숨가쁘다.개인용 컴퓨터(PC)시장에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별들은 (그림9)에서 알 수 있듯이 비스듬히 뜨고 지게 된다. 이때 별들이 뜨고 지는 궤
적은
지평선과 90°-φ의 각도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북위 37°인 서울 지방에서 볼 때 별들은 지평선과 53°의 경사를 이루며 뜨고 지는 것처럼 보인다.(사진1)에 우리나라에서 촬영된 별들의 운동 궤적을 촬영한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생물들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지역을 고르거나 또한 살 집을 만들곤 한다. 우리 인간도 마찬가지지만 우리는 살 곳외에도 소위 '레크리에이션'장소들을 고르고 조성한다. 이러한 장소들은 이제 '공원'이라 불리며 우리들 대부분은 공원이 우리의 건강과 정신에 활력을 준다고 생각한다.20세기 후 ... ...
독성 동물에서 천연 항생제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흡혈박쥐 진드기 뱀 말벌 거머리 독나방 전갈 등이 의약품의 원료로 쓰인다.두꺼비 거머리 전갈 거미 뱀 박쥐 등은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혐오감을 줘왔던 동물들이다. 실제로 그들중 대부분은 독을 갖고 있어 가까이 하기에는 너무나 위험하다. 특히 드라큐라를 연상시키는 흡혈박쥐는 아직도 브라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급히 찾았다. 그때 데려온 사람 이 안병선 박사다."당신 이 기계 다룬 적이 있소?""다뤄 본
적은
없지만 기계 안을 들여다보면 압니다."정말 신기하게도 그는 그 기계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지만 능숙하게 잘 다루었다. 그 능력을 믿고 즉각 4급연구원으로 채용하려 하였다. 그러자 연구원들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