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상의 입자’, 땅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9
10대 과학뉴스로 선정됐습니다. 다사다난했던 2013년을 마무리하는 지금, 데일리뉴스
팀
기자들이 각 주제별로 올해 과학계를 뜨겁게 달궜던 이슈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여드립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올해 물리학계는 ‘신의 입자’ 힉스의 존재가 공식 ... ...
3D 프린팅 기술이 미래를 이끌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비롯해 각종 물건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뉴스가 연일 쏟아졌다. 최근에는 영국 연구
팀
이 3D 프린터로 망막세포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이나 미국 코넬대 연구진이 조립할 필요없는 스피커를 3D 프린터로 만들었다는 소식 등이 전해지기도 했다. 우주용 3D 프린터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 ...
우리의 밥상은 과연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10대 과학뉴스로 선정됐습니다. 다사다난했던 2013년을 마무리하는 지금, 데일리뉴스
팀
기자들이 각 주제별로 올해 과학계를 뜨겁게 달궜던 이슈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여드립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을 강타한 규모 9.0의 지진과 쓰나미는 ... ...
[기자의 눈] 과학자 나고 과학 났지, 과학 나고 과학자 났나
2013.12.17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연시다. 과학기술계를 비롯해 각 분야마다 올해를 마무리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은 각각 2013년을 뜨겁게 달군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선정해 발표했다. 두 곳에서 발표 ... ...
“버릴 熱은 없다” 에너지난 속 뜨거운 공생
동아일보
l
2013.12.17
재활용으로 얻는 탄소 절감 효과도 양사가 절반씩 갖기로 했다. 김익기 한화케미칼 CA생산
팀
부장은 “2004년 5월 27일 배관 개통식을 앞두고 설비가 제대로 작동할지 걱정돼 밤을 꼬박 새웠다”며 “여러 우려를 불식시키며 두 회사는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에너지난에 폐열 거래 확산 ... ...
‘열’ 받은 DNA, 구조가 바뀌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다양한 구조로 바뀌는 과정을 밝혀내 화제다. 포항가속기연구소 진경식 선임연구원
팀
은 ‘이음새 DNA’의 3차원 구조와 변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음새 DNA는 이중나선 구조의 1차원 DNA가 복제나 재조합, 손상 치유 등을 위해 2차원 모양으로 바뀐 중간 ... ...
시간여행으로 바뀌는 미래 정말 행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과거를 바꾼 후 현재로 돌아왔는데, 어린 자식의 성별이 바뀐 것을 보고 깜짝 놀란다.
팀
의 아버지(빌 나이 분)는 그 까닭을 나비효과 때문이라고 말한다. 아무리 조건을 비슷하게 한다고 하더라도 수 억 마리의 정자 중 똑같은 정자가 수정돼 똑같은 아이를 얻게 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뜻이다. ... ...
속이 안 좋아요? 5일만 투자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내 주목받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 피터 턴바우 연구원
팀
은 장내 미생물의 구성을 바꾸는데 4~5일이면 충분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질병은 물론 수명까지 좌우하는 것으로 알려진 장내 미생물을 건강에 유리한 방향으로 간단히 조절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말이다. ... ...
낡은 아파트 층간소음 문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만들어 천장에 시공하자 저주파 층간소음을 대부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
팀
은 현재 상용화를 목표로 효율이 높은 공명기 형태와 싼값에 만들 수 있는 격자형 구조를 모두 개발 중이다. 김현실 연구원은 “저주파 소음을 막아 내는 메타 물질 구조는 저가의 플라스틱으로도 만들 수 ... ...
호박 모양 분자로 생체 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2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 김기문(포스텍 화학과 교수) 단장
팀
은 작은 분자인 ‘쿠커비투[7]릴’을 이용해 당을 선택적으로 담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분자는 호박 모양으로 생겼는데 밖은 단단하면서 속은 비어있는데, 이 분자를 당류가 녹아있는 물 속에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