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7,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03
확인할 수 있다.물론 우주공간의 모양을 파악하기 위해 천문학자들이 관측하는 빛은
눈
에 보이는 빛이 아니다. 온하늘에서는 우주배경복사라는 빛이 발견된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멀고 오래된 빛인 우주배경복사는 현재 마이크로파의 형태로 관측된다. 이 마이크로파 신호에 나타나는 뒤틀림의 ... ...
할머니 소원 3월의 설경
과학동아
l
200203
봄을 알리는 3월에
눈
을 보기란 쉽지 않다. 만약 병석에 누워 계신 할머니가 소원으로 설경을 보고 싶다고 한다면? 모험이와 슬기가 보여주는 시험 ... 형성된다. 여기에서 6각형의
눈
결정 그림을 각 꼭지점이 접히도록 한 후 잘라내는 까닭이 바로
눈
결정이 6각형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이다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03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가 변해, 높이만 재면 온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눈
금을 새길 수 없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 온도계의 온도값은 전자현미경으로 읽을 수 있다.탄소나노튜브 온도계가 잴 수 있는 영역은 50-5백℃. 연구팀은 액체 갈륨의 끓은점이 매우 높아, 앞으로 이 온도계의 측정 ... ...
새처럼 날개짓하는 초소형 비행기
과학동아
l
200203
날개를 1백종류 이상 바꾸는 연구 끝에 로봇새는 2001년 2월
눈
이 내린 어느날 하얀
눈
밭을 가르며 14초를 나는데 성공했다. 지금은 매가 사냥하듯 공중을 맴돌다 다이빙하는 곡예비행까지 보여준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김사장은 삼성테크윈(옛 삼성항공)에서 20년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03
합칠 수 있지만 카메라는 렌즈가 하나여서 한쪽
눈
으로 본 모습만을 찍을 수 있다. 한쪽
눈
을 감고 만년필 뚜껑을 끼려고 하면 어려운 것과 비슷하다.“렌즈가 2개인 스테레오 카메라로 찍으면 되지 않을까요?”이씨의 생각이지만 아직까지 해보지 않았다고 한다. 여러분이 한번 도전해보자.장비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02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설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눈
에 보이는 현상을 해석할 때 과학적 논리에 바탕을 두지 않고 자신의 개인적 감각을 더 믿는 사람들이 많다. 과학을 할 때 과거의 자연철학자나 과학자들이 범한 실수를 다시 범하지 않도록 항상 관찰한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02
교과서, 읽기자료, 영상, 연구 논문, 교사용 지도서를 보면서 물리학과 물리교육에 대해
눈
뜨고 신념을 갖게 됐어요. 우리나라 물리교육과에서도 PSSC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죠.” 박승재 교수가 평생 물리교육과 살아오게 된 계기다. 그는 영재교육을 시발시킨 ... ...
배달된 돌덩어리는 방사성물질?
과학동아
l
200202
관찰하는 일을 상상하기 어렵다. 그러나
눈
에 보이지 않는 방사선을 위험하지 않게 직접
눈
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어느날 모험이와 슬기가 9시 뉴스를 시청하고 있었다.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성물질이 원자력발전소로 우송되는 도중에 괴한들에 의해 도난을 당한 사건이 오늘 오전 xx시 xx분 경에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2
있을지 한번 찾아보자. 개미의 머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지점을 보면 밝은 별이 하나
눈
에 띈다. 바로 이 별이 백색왜성이다. 개미성운으로 변신하기 전에 이 별이 태양과 같은 별이었던 것이다.그런데 허블우주망원경이 보여준 개미성운의 모습은 이전에 예측했던 태양 최후의 시나리오에 도전장을 ... ...
1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02
예를 들어 정보통신기기에서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나 모니터와 같은 출력장치가 사람
눈
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진다면 사람이 제대로 이용할 수 있을까. 마이크로 단위에서 최대한의 기능을 발휘하는 기기가 있을 수 있고, 나노 단위까지 작아져서 더 좋아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를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