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니다. 새로운 작은 RNA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생명과학계의 또 다른 화두인 ‘유전자 가위’ 기술에도 작은유도RNA(sgRNA)라는 R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miRNA와 siRNA의 역할은 ‘작은 RNA 월드’에서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화석이 발굴된다. 국립과천과학관에도 그린 강 퇴적지층에서 발굴된 초대형 표본이 전시돼 있다. 커다란 종려나무와 물고기가 함께 화석화된 독특한 표본이다. 500만 년 동안 쌓인 퇴적층 사이사이에 다양한 옛 생명체의 화석들이 숨어 있는 이곳은 지구와 생명의 역사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사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Electronic Hand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로봇 의수를 꿈꿀 수 있게 된 것은 전자공학이 등장한 뒤부터다. 전자공학의 역사는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1948년부터 시작됐다. 복잡 ... 비슷하다. 같은 해 태어난 애플 사의 아이폰이 스마트폰 혁신을 주도할 때, 아이림은 전자의수 혁명을 이끌고 있었다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분석해 보면, 한반도는 최대 규모 6.7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지난 10월 8일, 서울 용산 동아 ... 받은 분야인 분자기계의 대가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한다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학자들을 서슴없이 비판하고, 왜 그들의 이론이 틀렸는지 조목조목 짚어낸다. 물리학을 전공한 기자에게 와인버그 교수와의 인터뷰는 여중생들이 마치 ‘방탄소년단’을 실제로 만난 것에 비견할 만큼 가슴 떨리는 일이었다. 독자들이 이 책을 읽으며 ‘현대물리학의 가장 정교한 눈’으로 과거를 ...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IUCN)에서는 1964년부터 전세계의 야생 생물을 관찰해 어떤 지역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보전 상태가 어떤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한답니다. 그 결과에 따라 매년 생물들을 7등급으로 분류해 발표하고 있어요. 가장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관심필요종, 취약근 접종, 취약종, 위기종, 위급종, ...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참치를 더 많이 잡아들이게 됐고, 그 결과 1970년부터 2012년까지 전세계 참치의 개체수가 74% 줄어들게 됐죠. 결국 참치의 멸종을 걱정할 지경에 이르렀답니다.한편 가죽이나 뿔을 얻기 위해 무분별하게 사냥한 결과 이미 멸종된 동물도 많아요. 멋진뿔이나 가죽때문에 사냥 ...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번 사연, 여러분도 공감하시지요? 중고 거래를 할 때는 늘 걱정이 앞섭니다. 튼튼하다고 해서 믿고 산 물건이 사실은 상태가 별로일까봐서요. 말 박사님, 의사 ... 첫 번째 사연의 청취자분도 판매자에 대해 꼼꼼히 찾아본 뒤에 용기 내서 거래에 도전해 보세요! 노래 한 곡 듣겠습니다~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직접 만나보시라.이영혜 기자는 두 주 동안 유럽을 누비며 드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최전선을 취재했다. 이번 호와 다음 호 두 호에 걸쳐서 놀랍고 생생한 세계를 보여줄 예정이다. 지난 달 커버스토리였던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가 많은 과학자, 공학자에게 호평 받았다. 세계적으로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제 겨우 50대 중반임을 고려할 때,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거라고 예측하는 건 매우 안전한 도박이다. 그날이 정말 온다면, 노벨상 위원회가 과연 K-이론을 대중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 ...
이전4714724734744754764774784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