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는 리처드 리키는 아직도 루시를 현대인의 조상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대다수의 인류
학자
들은 현존하는 최고의 인류화석이라고 말하고 있다.요한슨은 루시의 발견으로 일약 스타가 됐다. 국립과학재단, 리키재단, 내셔널 지오그래피로부터 후원금이 쏟아졌고, 그는 1975년 13명의 ... ...
로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탄생만을 기다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로그는 천문학의 작업량을 줄임으로써 천문
학자
의 수명을 두 배로 만들었다”는 말을 들을 정도였으니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간다.컴퓨터의 출현으로 계산 도구로서 로그의 가치는 많이 줄었다. 하지만 함수로서의 위치는 계속 고수하고 있다. 로그는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다. "브라질에서 나비가 날갯짓하면 텍사스에서는 토네이도가 불 지도 모른다"는 기상
학자
로렌츠의 말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대기의 카오스적인 행동에서 무질서 속의 질서와 질서 속의 무질서를 추적하는 것이 우리들의 몫이라고 생각된다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도마뱀자리 지역을 합쳐 루이 16세를 기리는 별자리로 그렸다. 또 약 1세기 뒤 독일의 천문
학자
보데는 ‘프레데릭 대왕의 영광’이라고 별자리 이름을 붙였으나 얼마 사용되지 못하고 사라졌다.이 별자리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약 20개이고, 4등성 이하의 별로 구성돼 있어 눈에 띄지 않는다. ... ...
화성생명체를 찾아나선 바이킹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충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학자
들로서는 연구하기 좋은 기회였다. 이때 이탈리아 천문
학자
스키아파렐리(1835-1910)가 1877년 화성을 관측하고 물이 흐르는 수로(canali)가 있다고 발표한 연구결과가 유럽으로 퍼졌다. 그런데 수로라는 말이 영어로 번역되면서 운하(canals)로 와전돼, 결국 운하를 만든 ... ...
아홉수와 13일의 금요일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점수술에 의지해 복을 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런 때에 유명한 행동주의 심리
학자
스키너의 비둘기 실험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스키너는 비둘기를 방에 가두고 특별히 설치된 막대기를 부리로 쪼면 먹이가 흘러나오게 실험장치를 만들었다. 어느 날 비둘기가 우연히 방을 한바퀴를 선회한 ... ...
제주도에 자연과학박물관 짓는 금속공예가 이종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자연사박물관과 더불어 살아있는 생물들의 낙원인 조류원과 곤충원도 포함돼 있다. 생태
학자
들이 마음놓고 연구할 수 있는 자연생태연구원을 만들어 책상 위에서 자연을 연구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지양하겠다는 것이 그의 목표다. 이런 목표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제주도만큼 훌륭한 여건을 가지고 ... ...
27억년 전에 원시세포 존재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27억년 전에 존재했다는 증거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암석에서 발견됐다. 시드니대학의 지질
학자
브록 교수와 연구팀은 ‘사이언스’를 통해 초기 지구의 바다에서 살았던 원시 세포생명체의 잔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연구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와이트눔 근처 6천8백m 깊이의 퇴적암에서 ... ...
우리나라 천문
학자
들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계산되고 있다.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진화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폭발하는 현상. 천문
학자
들이 은하단에서 초신성을 찾는 이유는 초신성의 밝기가 변하는 특성을 연구해 은하단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고 은하단 형성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기 때문. 또한 우주가 팽창할지 수축할지 그 운명을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956년에 설립됐다. 이곳에 근무하던 독일의 생리
학자
게르트 비니히(1947-)와 스위스의 물리
학자
하인리히 로러(1933-)는 1981년 주사형터널링현미경(STM)을 발명했다. 그 공로로 최초로 전자현미경을 디자인한 독일의 에른스트루스카(1906-1988)와 함께 1986년 노벨물리상을 수상했다. 또 1986년에는 독일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