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망2020] 서비스AI·엣지컴퓨팅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것은 AI를 누구나 손쉽게 구현하고 응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는 뜻이다. 미국
공학
매체 인터레스팅 엔지니어링은 사물인터넷(IoT)와 엣지컴퓨팅을 2020년의 기술 트렌드 분야로 꼽았다. 엣지컴퓨팅은 클라우드 컴퓨팅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말단의 단말 기기를 통해 연산이 이뤄지는 컴퓨팅 ... ...
자외선까지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장재형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자외선과 가시광, 적외선 태양광을 모두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하이브리드 유연박막태양전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CIGS 박막태양전지는 구리(CU), 인듐(In), 갈륨(Ga), 셀레늄 ... ...
버려지던 목재폐기물 '리그닌' 고부가가치 물질로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대체하는데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동욱 에너지및화학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리그닌 분자의 뭉침과 퍼짐을 결정하는 힘이 ‘소수성 상호작용’이라는 것을 밝혀내고 이를 조절할 방법을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리그닌은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목재의 30~40%를 ... ...
올해를 빛낸 기초연구자에 박선영 경북대 교수·정명화 서강대 교수 등 10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성균관대 신소재
공학
과 교수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부문에서는 고흥조 GIST 신소재
공학
부 교수와 장성연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가 각각 이름을 올렸다. 김 교수는 2차원 물질 그래핀의 표면에 정전기를 일으켜 전기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고 교수는 울퉁불퉁한 표면에 전자소자를 ... ...
[인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김동한 ▽실장 △국제협력실장 안성진 △문화홍보실장 방성욱 ▽팀장 △의
공학
연구소 운영기획팀장 정종구 △뇌과학연구소 운영기획팀장 장인태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운영기획팀장 전서훈 〈전보〉 ▽ 실장급 △경영기획실장 임환 △경영관리실장 이태호 △강릉분원 연구지원부장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백두산에 10여 차례 방문한 화산 전문가 이윤수 포스텍 환경
공학
부 특임교수는 “뜨거운 마그마가 올라오면서 주변 암석에 충격을 주면 암석이 깨지고 그 결과 지진이 발생한다”며 “하지만 영향이 미치는 반경은 100km를 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 근거로 10세기에 ... ...
인류의 미래 내게 달렸쥐∼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현상을 연구하고 신약 후보물질을 실험할 수 있다. 허동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바이오
공학
과 석좌교수는 올 9월 안구 표면을 형성하는 각막과 결막, 이 위를 덮은 눈물층까지 재현한 칩을 개발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다. 허 교수는 “안구 독성을 알아보는 ... ...
KAIST 기술자문 받은 소재·부품·장비 기업 30곳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이영민 화학과 교수와 공홍진 물리학과 명예교수, 김영진 기계
공학
과 교수 등 자문위원 교수 3명이 나서 기술 소개와 함께 자문 성과를 발표한다. KAIST는 앞서 지난 8월 2일 일본이 한국을 수출 심사 우대 대상 국가인 화이트 국가에서 제외한 이후 같은 달 5일부터 전현직 ... ...
[주말N수학]"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엔 고교 수학이 들어있죠"
수학동아
l
2019.12.28
치료제’를 만든다. 헬스케어 IT 관련 일을 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대학에서 의료IT
공학
을 전공한 것이 가장 큰 동기다. 다양한 센서를 이용해 건강 정보를 수집하고 적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험을 했다. 다만 전공의 특성상 영역이 너무 넓기도 하고, 입사 직후 전체 프로젝트의 진행을 ... ...
상온과 저전압에서 잘 작동하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이런 단점을 극복한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재를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소재
공학
부 김봉중∙이광희 교수 연구팀은 상온과 저전압 조건에서 작동하는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재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온 영역에서 미세한 온도 변화에 따른 유기물 단결정의 가역적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