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LG사이언스홀로 떠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미래에는 집에서도 수영을 할 수 있대. 카메라가 수영하는 모습을 찍어 돌고래로 바꾼
다음
화면에 보여 주지. 누가 더 빠른지 어디 한번 시합해 볼까? 헉헉~. 팔이 안 보일 정도로 수영을 했더니 정말 힘들었어.짜릿한 로봇축구거침없는 하이킥을 로봇이 한다고? 축구 로봇들이 팀을 이뤄 경기를 하는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광전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기관 표면에 셀렌을 증착하고 열가공하여 결정화한
다음
그 위에 금속 또는 산화카드뮴으로 된 반투명 박막을 접착시킨다그리고 이 박막에 빛을 쬐면 셀렌 결정층과 박막 사이의 경계에 광기전력 효과가 생겨 전하를 만든다기판과 박막을 외부회로로 연결하면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간신히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들어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곧 새 항원을 만들어
다음
공격을 준비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항원이 변하는 속도는 천연두 바이러스보다 1만~10만 배 정도 빠르다.고지식한 바이러스가 공격했을 때보다 유연한 바이러스가 공격했을 때 인간은 더 큰 피해를 ... ...
여인의 초상 제 7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드라마틱하게 던졌다고 칭찬했다. 여론조사에서도 7 대 3으로 래빗을 지지했다. ‘나쁜’
다음
에 과연 래빗이 무슨 말을 던졌는지가 또 다른 화제로 부각됐다. 어떤 이들은 점잖게 ‘사람’이나 ‘녀석’ 정도라고 했지만, 어떤 이들은 복화술사까지 대동해 적어도 ‘새끼’이거나 여성의 성기를 ... ...
'트위스트' 춤추는 59층 빌딩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마치 ‘레고’처럼 끼워 맞추는 식이다. 우선 중심부 콘크리트 타워를 꼭대기까지 올린
다음
공장에서 만든 건물 조각을 꼭대기부터 순서대로 설치한다. 아래층부터 만들어 올리는 이전 공법과는 정반대인 셈이다. 피셔 씨는 “전체 공정의 85%는 공장에서, 15%가 현장에서 이뤄진다”며 “이전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41m의 W-86은 300m 깊이까지, 높이 25~32m의 A-52는 230m 깊이까지 각각 바닷물에 잠겨 있었다.
다음
은 현장 조사. 연구팀은 남극조사선 ‘로렌스 굴드’를 타고 남극대륙 서쪽에 있는 웨델해로 들어갔다. 2005년 12월 드디어 바닷물에 둥둥 떠다니던 두 빙산을 추적하며 그 주변 환경을 면밀하게 살펴봤다.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포도의 주성분인 타타르산이 검출돼야 한다. 분석 결과 모두 타타르산이 확인됐다.
다음
은 적포도주 색소 성분인 말비딘-3-글루코시드의 대사산물인 시린지산의 존재여부. 분석 결과 한 암포라의 시료에서만 시린지산이 검출됐다. 시린지산이 나오지 않은 나머지 다섯은 백포도주일 가능성이 높다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작정이었다. 그러나 영조는 보고받은 망원경과 서적을 관상감에 내려주지 않으면서
다음
과 같이 말했다.“이른바 규일영(窺日影, 태양관측용 망원경)이란 것이 비록 일식을 살펴보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곧바로 햇빛을 보는 것은 본디 아름다운 일이 아니다. … 이것은 나쁜 무리들이 왕을 염탐하는 ... ...
전기 통하는 초강력 종이 탄생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두께는 20만개가 모여야 머리카락 한가닥 정도 될 만큼 매우 얇지만 강도는 다이아몬드
다음
으로 크다. 그러나 뭉치거나 말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루오프 교수팀은 그라펜을 산화시켜 탄소와 산소가 육각형 모양으로 연결된 산화그라펜 종이를 만들었다. 이 물질은 산소와 탄소의 결합력 덕분에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전단 변형의 조합으로 설명한 것이며 [그림]에 제시한 톰프슨 테트라 헤드럴을 이용하여
다음
과 같이 설명된다태양에서 행성까지의 평균거리를 산출하는 간단한 경험법칙 독일의 수학자 · 물리학자 J D 티티우스가 1766년에 처음 고안하여 마침 번역 중인 C 보네의 《자연의 사상》에 실었고, 그 후 7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