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익은 상태를 색깔로 표시해 줄 수도 있으니, 같은 제품이어도 포장에 부착된 이 지표를
보고
입맛에 맞는 것으로 고를 수가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왼쪽 그림과 같은 프랑스에서 개발한 신선스티커가 선보인 바 있다. 나노 기술로 진화하는 포장미래에는 지금보다 빛과 열을 잘 견디고 포장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시력이 매우 좋지 않은 편”이라며 “멧돼지들이 잎이 채 떨어지지 않은 나무들을
보고
숲이 계속되는 줄 알고 달리다가 산 끝까지 다다른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그렇게 달리던 멧돼지들이 숲인지, 마을인지 구분하지 못하고 그대로 마을 어귀까지 내려온다는 뜻이다. 멧돼지는 하룻밤 ... ...
첨단토목기술 떠받치는 기둥, 철강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대 이런 약점을 보완하는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선진국들은 철강 구조물을 자원으로
보고
1인당 축적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처음 건설할 때 비용만 생각하지 말고 긴 시간을 내다보는 안목이 필요한 때입니다.”윤 단장은 우리나라가 앞선 철강기술을 잘 활용하면 21세기 토목강국으로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구멍은 대상을 더 집중하게 하는 힘을 갖는다.우리가 지으려는 건물은 교보타워를 마주
보고
있으므로 좋든 싫든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은 언제나 교보타워의 육중한 갈색 건물을 보게 된다. 무겁고 어두운 색으로 시야의 상당부분을 가린다는 점이 우리로서는 썩 유쾌하지만은 않았다. 건물의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손가락에 자극을 줬다. 그랬더니 실험참가자들은 자극이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느낀다고
보고
했다.이런 촉각 일루전은 자극기 없이도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다. 농구공처럼 둥근 물체를 20초 정도 손바닥으로 눌러보자. 그런 다음 평평한 바닥에 대보자. 어떤 느낌이 드는가. 볼록한 공과 반대로 ... ...
How a Sugar Pill Can Heal You?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말했을 경우, 비슷한 경고를 받지 않은 환자보다 더한 고통을
보고
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자가 ‘고통’에 대해 들은 경우, 무의식적으로 고통이 있으리라고 예상했다는 뜻이다. 그리고 실제로 더 많은 고통을 유발했다.왜 플라시보와 노시보 반응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번이나 나오는지, 얼마나 많은지 등에 관심이 많다. 얼마나 단단한지 어떻게 생겼는지를
보고
우리가 장을 얼마나 빨리 통과했는지 판단한다는 뜻이다.1997년 영국 브리스톨대 케네스 히튼 박사는 우리가 장 안에 오래 있을수록 단단해진다는 사실을 고려해 우리 7형제(브리스톨 대변형태 척도)를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보이는 외모가 문제다. 짙은 눈썹에 강렬한 얼굴. 강 씨조차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이따금 흠칫 놀란다. 그래서 그를 처음 본 사람들은 대부분 슬금슬금 자리를 피한다. 첫인상이 좋지 않을 뿐 속은 한없이 부드러운 이 남자, 억울함을 호소할 곳이 없다.첫인상을 결정하는 요소는 분위기나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무기를 버리고 도망쳤사옵니다. 그런데 오십 보를 도망친 병사가 백 보를 도망친 병사
보고
비겁한 놈이라고 비웃었다면 전하께서는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런 바보 같은 놈이 어디 있소? 오십 보든 백 보든 도망치기는 마찬가지가 아니오?” “그걸 아셨다면 전하, 백성을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길이를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천체는 해입니다. 직공들이 해를 뚫어져라 쳐다
보고
있는 모습이 보이죠? 해가 뜨는 위치를 보면 일 년의 날 수를 셀 수 있습니다. 해는 항상 정확히 동쪽에서 뜨는 게 아니라 북쪽과 남쪽을 향해 조금씩 움직입니다. 해가 뜨는 위치가 가장 남쪽으로 내려왔을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