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럴 경우 현재 논의되고 있는 핵융합이나 원자력과 같은
에너지
분야 환경분야 의공학분야 공해분야 등은 자연스럽게 응용분야로 흡수될 것이다.셋째로 KAIST는 국가적 차원에서 어떤연구 분야가 취약분야로 보완이 필요한가를 찾아 균형적인 연구가 이뤄지도록 해야한다.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주로 개념과 지식으로 체계화된 학문을 배우는 것이다. 그러나 공통과학에서는 환경이나
에너지
와 같이 여러 학문분야의 지식을 알고 있지 않으면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로 구성돼 있다.그동안 많은 교사들이 "현행 과학교육(5차 교육과정)에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들이 적다" 는 문제를 지적해 왔다.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 문제를 풀려면 먼저 일이
에너지
와 같은 단위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추의 위치
에너지
의 증가가 바로 근육이 추에 한 일이다. 그 양은 바로 mgh이고, 이것을 걸린 시간 NT로 나눈 것이 바로 일률이다. 따라서 답은 ⑤다. (통합과학문제4) 탐구학습을 했는지 묻는다철수는 생태계의 물질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에너지
가 나온다. 태양과 별에서 나오는 열과 빛은 바로 핵융합에 따른 질량결손
에너지
다. 그러나 핵분열과 달리 핵융합은 아주 높은 온도와 높은 압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실생활에서 응용되고 있지 못하다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자기장이 소멸할 때 가지고 있던
에너지
를 급격히 내놓으면서 광구 밖으로 강한 빛과 고
에너지
입자를 내뿜는 현상.흑점(sunspot) 태양 표면에 가맣게 보이는 점. 이곳은 주위보다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고 온도가 낮다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위해서 가장 신경쓰는 일은 대원의 건강유지와 화재예방, 그리고 안전사고 방지이다. 또
에너지
공급원인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급유관은 얼지않는지를 늘 살펴야 한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이 중요한 것은 급수다.기지의 뒤편 산기슭 밑에는 ‘현대소’ 라고 이름붙인 인공호소가 있다. ... ...
2. 남극의 생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있다.바닷속을 들여다보면 1차 생산자로서 바다에 녹아있는 영양염류를 먹고 태양
에너지
를 받아 살아가는 박테리아와 식물성 플랑크톤들이 있다. 이들은 크릴의 먹이가 된다. 크릴과 더불어 요각류, 단각류와 같은 초식성 동물플랑크톤들이 자라 수염고래 오징어 어류 펭귄의 먹이가 된다. 그리고 ... ...
PART Ⅰ. 훈련은 필수, 나이는 무관 당신도 초능력자가 될수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새로운 과학 창출” 등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통사상 생체 기
에너지
시공간 기
에너지
잠재능력 등 4개 분야에 대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초능력은 이 중 잠재능력 분야에 속한다.역사가 짧고 별다른 지원이 없는 탓에, 국내의 많은 전문가들과 초능력자들이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링과 가까운 거리에서 슛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링과 가까운 거리에서 슛을 쏘면
에너지
소모량도 적고 링에 볼이 들어가는 각도도 유리하다. 게다가 또 리바운드를 잡아 슛으로 연결되는 횟수도 키가 클수록 많으니 이래저래 농구선수의 첫째 조건은 신장이다.물론 신장이 모든 경기의 승리를 ... ...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에너지
가 큰 짧은 파장대의 빛이 주를 이루는 반면 지표면에서 복사되는 빛은
에너지
가 적은 긴 파장대가 주를 이룬다.이산화탄소는 파장이 큰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은 대부분 투과하고 지표면에서 복사되는 빛은 흡수하여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것이다.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