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빛을 조절한다! 편광 선글라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낙엽이 하나, 둘 떨어지는 가을 날, 분위기를 잡고 멋진 가을 남자로 변신하려 하는데…. 으악~! 너무 눈부셔~! 강렬한 가을 햇빛 때문에 눈 ... 영상은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으로 만들어서 이걸 3D 안경으로 보는 거야. 그러면 우리 뇌는 실제 물체를 보는 것처럼 입체로 인식하게 된단다 ...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바로 곧게 나아가는 ‘직진’이에요. 빛이 직진하기 때문에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돼 우리 눈에 들어올 수 있으니까요. 물체를 중심으로 빛의 반대편에 생기는 그림자 역시, 직진하던 빛이 물체에 가로막혀 생기지요.이 밖에도 빛은 몇 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아주 작은 구멍에 손전등을 비추면 ... ...
- [화보] 하늘에서 내려다본 세상 드론스타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없는 재주꾼이에요. 처음엔 군사용으로 개발됐지만, 몸체가 점점 작고 가벼워지면서 우리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지요.게다가 요즘은 드론이 사람의 눈을 대신해 주기도 한답니다. 드론에 카메라를 달면 150m 정도의 높이까지 날며 사람이 직접 보지 못하는 곳을 촬영할 수 있거든요.새처럼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이 생기면서 사람들은 살충제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이 약이 우리 몸에 쌓여 질병을 일으킨다는 사실도 확인됐지요. 결국 이 살충제는 사용이 금지 되고 말았답니다.한편 프리츠 하버 박사는 공기 중에 있는 암모니아를 합성해 비료를 만드는 데 성공해 1918년 노벨 화학상을 ... ...
- 꿀벌 탐사대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인류를 위해서도 꿀벌을 잘 지켜야겠죠?귀여운 누에들을 만나 보자누에는 뽕잎을 먹고 우리에게 비단을 만들어 주는 고마운 곤충이에요. 올해 9월 24일에 개장한 잠사 곤충 박물관은 1000여 점의 양잠 관련 유물과 누에를 직접 만날 수 있는 공간이랍니다.붕붕~, 양봉장으로!드디어 꿀벌들이 살고 있는 ... ...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떨어져 있다. 그 먼 곳까지 어떻게 가지?마크 와트니는 어떻게 스키아파렐리까지 갔을까?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는 남북으로 뻗은 길이가 약 1000km예요. 그러니까 마크 와트니가 스키아파렐리 분화구까지 가려면 한반도를 3번 이상 달려가 야 하는 거지요. 지구에서도 그만한 거리를 차로 가 면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걸 실험으로 확인했어요.연구팀은 우선 아주 가느다란 관에 물을 넣고 압력을 높였어요. 우리가 느끼는 공기의 압력이 1기압인데, 연구팀은 관 안의 압력을 2000기압까지 높였죠. 그리고 온도를 영하 190℃로 떨어뜨려 관 안에 넣은 물을 얼렸답니다.그런 다음 관을 구부려 얼음을 깨고 다시 압력을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가장 힘든가요? 가장 어려운 점은 매우 좁고 사방이 막힌 곳에 살고 있다는 거예요. 우리는 물론 바깥에 나갈 수 있어요. 하지만 외출을 허락받으려면 적어도 하루가 걸리고, 외출 하는 동안 반드시 우주복을 입어야만 해요. 우주복은 보통 100kg 정도라 매우 무겁고 움직이기도 불편해요. 또한 태양과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카메라 렌즈)가 대표적인 예지요. 마치 렌즈의 단면처럼 볼록한 형태를 하고 있거든요.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빠질 수 없지!한글 이름도 세계에 웃음을 줄 수 있어요. 1999년 당시 포스텍 생명과학부에서 일하던 남홍길 교수는 다른 종보다 수명이 긴 애기장대의 돌연변이 종을 발견했어요. ... ...
-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정말 대단하지?바이오블리츠를 통해 생물 친구들을 하나하나 찾아서 인사하고 나니 우리 주변의 생물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또 다양한 생물들과 어울려 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어. 앞으로도 바이오블리츠는 계속될 예정이야. 더 많은 친구들이 함께하길 바랄게~ ... ...
이전4724734744754764774784794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