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4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러 원자력 연료에 적용할 3D프린팅 기술 공동 연구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우주
나 해저 등에서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는 미래혁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양국은
우주
용 원자력 전지 공동 연구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러시아의 원료농축기술과 한국의 반도체 기술을 융합한 베타 전지 협력도 착수했다. 베타 전지는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방출되는 베타선을 반도체에 ... ...
"GPS 정확도 높여라"…세계 항공전문가 서울서 머리 맞댄다
연합뉴스
l
2019.06.03
KASS) 개발·구축 현황과 국내 인증규정 등 5개 주제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GBAS/SBAS는
우주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에서 송출하는 GPS 신호가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해 사용자에게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항공기 운항방식은 지상 항행시설에 ... ...
美 달 탐사도 '아웃소싱'…민간기업 만든 착륙선 2020년 달에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달 착륙선 개발 민간기업 3곳을 지원해 달에 과학기술 임무용 화물을 실어 보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세 기업 ... 브라이든스틴 국장은 “상업용 착륙 서비스에 투자하는 것은 지구 저궤도를 넘어 상업
우주
생태계를 만드는 강력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아인슈타인의 웃음, 갈수록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일반상대성이론 입증 100주년 중력파 발견, 블랙홀 관측 등… 후학들 증명으로 이론 탄탄해져 29일은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최대 업적 가운데 하나로 꼽 ... 가설 속의 후보 입자인 ‘액시온’과 ‘윔프(WIMP)’를 관측하기 위한 연구팀이 지금도
우주
를 지켜보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5번째 태양 주기가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2
가장 활발한 시기로 지구에 자기폭풍을 유도하곤 한다. 자기폭풍은 통신을 방해하고,
우주
선과 미사일의 추적을 방해하며 글로벌위성항법장치(GNSS)의 오류를 일으킨다. 심할 경우 변압기에 과전류를 흐르게 해 망가뜨리기도 한다. 정확한 태양 주기의 예측은 이러한 재난을 방지하는 데 ... ...
비밀기지 방불케 하는 세계 최대 지하실험실 그랑사소 연구소(영상)
2019.06.01
건 이 후보 물질을 검출 혹은 관찰하기 위해 지면에서 나오는 중성자, 하늘에서 쏟아지는
우주
입자를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그랑사소 입자연구소 내부. IBS 제공 그랑사소연구소 내부에서는 암흑물질 후보군들을 관찰하기 위해 세계 최첨단 수준의, 다양한 실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 ...
한·伊 “
우주
비밀 밝힐 암흑물질 연구 손잡고 함께 간다”
2019.06.01
없어 붙은 이름이다. IBS는 강원도 정선에 1100m, 면적 2000㎡ 규모의 심층 지하연구시설인
우주
입자연구시설(ARF)을 올해 4월부터 짓고 있다. 김 원장은 “체결식 전에 INFN의 지하실험시설을 방문해 살펴봤더니 기술력과 인프라 수준이 놀라웠다”며 “기존 중이온가속기 분야 연구협력을 강화하는 ... ...
"파스타 닮은 암석을 찾아라"…극한환경 미생물 증거
연합뉴스
l
2019.05.31
에너지원으로 삼고있다. 브루스 포크 제공 포크 박사팀은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진행된 연구에서 '설퍼리'가 독특한 형태의 암석을 형성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설퍼리 표면의 단백질이 온천물에 녹아있는 탄산칼슘의 결정질화를 촉진한다는 ... ...
한·伊
우주
비밀 밝히기 위해 손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것이다. IBS는 강원도 정선에 1100m, 면적 2000제곱미터 규모의 심층 지하연구시설인
우주
입자연구시설(ARF)을 올해 4월부터 짓고 있다. IBS는 “국내 유일 심층 지하연구시설을 건설 중인 IBS와 세계 최고수준의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연구시설과 인력을 보유한 INFN이 협약을 맺는 만큼 이번 협약이 양국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quark)’라는 단어를 썼다가 데스크에서 ‘데스킹’ 당한 적이 있었다. 쿼크는 우리
우주
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 중 하나로, 이 말이 나온 지가 반세기도 넘었다. 과학용어는 숟가락으로 떠서 입안에 넣어줘야 하지만 법률용어는 그렇지 않다. 한국에서 과학이 차지하는 위치가 어디쯤인지 ... ...
이전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