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 지구사랑탐사대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꿀벌, 매미, 귀뚜라미 등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는 프로그램이에요.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을 포함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직접 진행하는 현장교육을 받을 수 있어요.2015년부터는 식물 탐사가 추가되고 꿀벌 탐사가 심화되는 등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랍니다. 온 ...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길고양이가 도시의 ‘대장’이 된 이유는?길고양이가 많이 보이는 이유는 간단해. 도시에 잘 적응했기 때문이야. 우리 고양이들은 원래 야생에서 살았어. 산에서 흘러들어온 야생고양이와 시골에서 키우던 ‘쥐잡이’ 고양이들이 도시로 변한 자신의 영역에서 계속 번식해 사람들이 ‘코숏’이라 ...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도시의 ‘생산자’는 사람이다?놀라긴. 도시생태계의 동물들에게 가장 중요한 먹이는 바로 사람들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야. 왜 쓰레기를 먹고 사냐고?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은 영양분을 만드는 생산자(식물), 생산자를 먹는 1차 소비자(곤충, 초식동물), 1차 소비자를 먹는 2차 소비자(육식동물)로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미래가 될 것입니다.Q 졸업한 선배들의 진로는.여태까지는 굉장히 한정적이었습니다. 대학원, 연구소, 산업체,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력 기술 개발을 했습니다. 요즘 떠오르고 있는 것은 ‘원자력 안보’입니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정원이나 유엔에서 원자력공학과 학생들을 찾고 있습니다. ... ...
-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우리집에는 골칫덩어리가 하나 있어. 집과 밖을 오가는 자유로운 외출고양이 ‘우롱’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야.한겨울이라 외출도 금지했건만,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몰래 도망쳐서 놀다 오는 거 있지? 아닌 척 시침을 떼지만 새카맣게 변한 발바닥이 그 증거라고!유난히 잠이 오지 않던 밤, 뒤척 ... ...
-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매년 3명씩 수상자를 선정해 왔답니다. 2014년에는 숙명여자대학교 함시현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임혜숙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향숙 명예연구원이 수상자로 결정됐어요(사진 왼쪽부터 차례대로). 함시현 교수는 치매나 암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어떤 모양으로 뭉칠지 예측하고, 뭉치는 속도를 ... ...
- [화보] 작은 겨울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눈 내리는 겨울이다.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세상에도 겨울이 찾아왔다. 현미경 렌즈를 들여다보니, 세포나 곤충의 표면 등 의외의 곳에서 겨울 풍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현미경 속 작은 겨울은 어떤 모습일까?여기가 북극인가요?한파가 몰아치는 북극이 우리 가까이에 있다. 현미경으로 몇 천배 ... ...
- [수학뉴스] 뒤틀리는 비누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일본 오키나와대 과학기술대학원 엘리엇 프라이드 교수팀은 비누막이 변형될 때 비누막에 작용하는 힘과 모양 사이의 관계를 밝혀, 영국왕립학회지A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비누막이 뒤틀리는 것은 비누막의 표면장력과 같은 힘이 ... ...
- 찰흙으로 전기를 저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얇고 변형이 쉬우면서도 용량이 더 큰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드렉셀공과대학교 유리 고고씨 박사 연구팀이 전기 전도성이 높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바꿀 수 있는 ‘찰흙 전지’를 개발했어요.이 찰흙 전지는 ‘엠진’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졌어요. 엠진은 금속처럼 전기가 잘 ... ...
-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사실이니?최근 기제류 동물의 고향이 인도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켄 로즈 교수 연구팀은 2001년부터 인도 뭄바이 근처 석탄광에 있는 약 5000만 년 전의 신생대 지층을 조사했어요. 이곳에선 수많은 고대 생물의 뼈가 발견됐지요. 그 중에는 ‘캄베이테리움’이라는 고대 ... ...
이전4744754764774784794804814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