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소리를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컴퓨터까지 그 응용분야는 끝이 없다. 타이어의 도면만 봐도 주행할 때 어떤 소음을 낼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맞춤형 타이어도 만들 수 있다.이 교수는 “미래에는 사람의 감성까지 끌어당길 수 있는 소리를 만드는 일이 제품설계의 관건”이라며 “한걸음 더 나아가 기업은 듣기만 해도 자사 제품의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우리를 기생충이 아니라 공생충이라고 불러야 되는 거 아니야? 흐익~! 기생충들이
알
레르기도 없애 주고 다이어트도 시켜주겠다며 한꺼번에 몸 속으로 들어오려고 해서 놀라 눈이 떠졌어. 휴~, 꿈이었구나. 에일리언 같은 무서운 녀석들이 내 몸 속에서 꿈틀거리고 있다고 생각하니 아직도 식은땀이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천문의기였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세기 경에 처음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
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에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자료가 없어 확실하지 않다 다만 삼국시대 후기나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기록상으로는 물을 동력으로 한 수격식(水擊式) 혼천시계가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움직이는 근육 5개가 팔꿈치까지 뻗어있다.굳이 해부하지 않아도 외재근의 존재를
알
수 있다. 오른팔 관절에서 손목 쪽으로 3~4cm 떨어진 안쪽 팔뚝에 왼쪽 손가락을 대고 오른손 중지나 약지를 굽혀보면 팔의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연세대 의대 해부학교실 이혜연 교수는 “신체부위를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상적인 대화 소리의 강도는 40~60dB이고 75dB 이하의 소리는 난청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알
려져 있다.달팽이관 속 세포를 쉬게 하자 01 돌돌 말려있는 달팽이관을 펼쳐보면 기저막은 바닥에서 꼭대기로 갈수록 넓어지고 얇아지며 부드러워질 뿐 아니라 반응하는 최적 진동수도 2만Hz에서 20Hz로 ... ...
양방향메시징서비스(MO)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중이다. 자체 심의를 거친 댓글이 인터넷사이트에 표시되는데, 기사를 본 독자의 반응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문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지상파와 케이블 방송국에서도 MO를 통한 양방향방송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최근 KBS는 ‘아침마당’ ‘사미인곡’ 같은 ... ...
크리스마스 때 DNA맞춤식단 주문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먹이는 법, 섹시해지는 법, 최고가 되는 법, 젊음과 미모를 유지하는 법을 음식을 단서로
알
수 있다고 하니 과연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지 직접 실험해볼만 하다 ... ...
여왕이 성(性)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여왕이 낳은 수컷
알
은 평상시의 3배 정도였다.와튼 박사는 “처음에 어쩔 수 없이 암컷
알
을 많이 낳은 여왕벌이 성비가 깨진 것을 만회하려고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며 “일벌과 여왕벌이 어느 정도 꿀벌사회의 성비를 조절하는 임무를 공유한다”고 말했다. 이 결과는 ‘행동생태학저널’ 11·1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남긴 인류가 누구였는지 고렌-인바 교수에게 문의해보니 사람 뼈는 전혀 출토되지 않아
알
수가 없다고 한다. 아직까지 호모 에렉투스가 요리를 위해 불을 이용했다는 증거는 없지 않나?그렇다. 그런 증거가 있었으면 논쟁은 벌써 끝났을 것이다!Q_호모 에렉투스의 1차 뇌용량 팽창이 요리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우리에 대해
알
고 나니 좀 친숙하게 느껴지니? 그래도 우린 해충일 뿐이라구? 흥! 이럴 줄
알
고 준비했지. 우리도 과학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구!유전학 발달은 초파리 덕분!유전학의 발달은 우리 초파리 덕분이지. 초파리는 빨리 자라고 많은 자식을 낳지. 또 기르기도 쉽단다. 염색체 수도 적으면서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