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높은 에너지를 갖도록 입자를 가속하는데 이온 형태가 필요하기 때문에 처음엔
양
이온으로 가속한다. 하지만 강한 자기장을 뚫기 위해서 이온보다 중성입자가 더 낫다. 때문에 가속된 이온을 가스를 통과시키면서 전자를 다시 얻게 해 중성입자로 바꿔 주입한다.미국 프린스턴 ... ...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함께 빠져나간다. 따라서 복제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빠져나가는 미토콘드리아의
양
을 최소화해야 한다.수능문제의 출제 범위는 당연히 교과과정이다. 하지만 이번 경우처럼 복제와 같은 사회적 관심사를 문제로 다룬다면 좀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수험생도 사회적 이슈에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한다. 그렇다고 지금 당장 인간복제 연구를 시작해야 한다는 얘기는 아니다.지금은 다
양
한 동물실험을 통해 인간복제의 바탕이 되는 연구를 체계적으로 충실히 수행해 나가야 한다. 충분한 시간이 흐른 뒤 현재의 과학적·기술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얻고 난 후에야 인간복제 연구를 허용할 수 ... ...
폭넓은 공부와 꼼꼼한 준비 부탁한 출제의도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한다. 이 연구위원은, 보기 (ㄴ)의 ‘대기가 없는 경우’와 (ㄹ)의 ‘최근 10년 간 분출된
양
만큼의 화산재’는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어렵지 않느냐는 질문에 “우리의 출제의도는 온실효과를 제대로 알려주자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수험생은 온실효과라고하면 이산화탄소를 생각한다. 하지만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청소년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임신 후 낳아서 기르거나 입
양
을 선택하는 경우는 10대 임신경험자 가운데 8%에 지나지 않고 다수가 합법 또는 불법의 낙태를 선택했다는 표본조사결과는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김성이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은 “매년 새로 태어나는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폭은 결코 넉넉하지 않았다. 이것이 인류 건축 역사가 그토록 장구함에도 불구하고 건축
양
식은 몇가지로 압축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반면 현대 건축가들의 선택 폭은 가공스러울 만큼 크고도 넓다. 어떤 형태이든지 철이 해결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일종의 광장 공포증과도 같은 이 무한자유의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혜성은 태
양
계 생성 초기의 상태를 고스란히 가진 원시 ‘화석’으로 중요한 천체다. 딥스페이스 1호가 혜성 탐사에 역사적 지평을 열었지만 본격적인 혜성 탐사는 이제부터 시작이다.딥스페이스 1호에 이어 혜성에 접근해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하지만 이 분야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다
양
한 전공지식이 필요하다”라고 말한다. 그는 “우선 화학과 생물은 기본이고 반도체 소자와 칩의 집적기술을 위해서 재료공학과 전자∙전기공학의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화공, 의약, 환경, 약학 등 과학 전분야의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블록이 맡은 역할은 전철역에서 토큰을 파는 루시. 그녀는 조그마한 아파트에서 고
양
이와 함께 산다. 그녀의 유일한 즐거움은 매일 아침 짝사랑하는 피터가 지하철을 타러 오는 것을 보는 일이다. 어느 날 루시는 지하철 선로 위에 떨어진 피터를 발견하고는 병원으로 옮긴다. 병원으로 옮겨진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생각했고 실생활에 응용되는데는 20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다.특히 21세기에는 BEC와 같이
양
자역학적으로 흥미로운 상태의 물질을 이용한 새로운개념의 연구가 더욱 꽃피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를 위해 젊은 학생들과 연구자들의 관심이 절실히 요구된다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