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스피린에 예민한 천식 환자, 악화 빈도·중증도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많아, 다른 알레르기성 천식 대비 더 경각심을 갖고 유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박해심
교수
는 “이번 연구는 아스피린 과민성 천식 환자의 임상 경과를 최장 10년간 추적 관찰한 빅데이터 연구로 국내 아스피린 과민성 천식 환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평소 아스피린이나 ... ...
[사이언스게시판] 한국 등 동아시아 4개국, 100기가급 연구망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치료기기를 개발 중이다. 이날 현장간담회에서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
는 자폐 3대 주요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 3종을 개발해 생후 24개월 이전 조기진단이 중요한 자폐 스펙트럼 대상 아동의 진단과 치료에 기여할 계획을 밝혔다 ... ...
항생제 안듣는 '슈퍼박테리아' 잡는 토양 속 '미지의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메커니즘은 세균이 내성을 갖는 것을 방해한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와인가스
교수
는 "클로비박틴은 세균의 표면에만 존재하는 피로인산염에 결합하기 때문에 사람의 세포에 독성을 갖지 않는다"며 "낮은 위험성으로 항생제 내성균을 죽이는 개선된 치료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 ...
[과기원NOW] KAIST, 간섭계 없이 3D 홀로그래픽 구현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설명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23일 박상현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적은 양의 정보만으로 뇌파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퓨샷 학습 딥러닝 모델'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TNNLS'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타깃 피험자로부터 얻은 뇌파들 중 소수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 ...
젊은데 눈앞 흐려지는 ‘중심장액망막병’ 발병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생성을 억제하는 방어체계로 miR-184가 보상적인 증가를 보인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교수
는 “황반변성이나 당뇨망막병증 등 다양한 망막질환치료에서 고비용의 주사치료제들이 사용되고 있다”며 “약제의 치료반응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조기에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해 빠른 증상 호전과 ... ...
죽은 뒤에도 색 바뀐다…변장의 달인 ‘호그피쉬’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만드는 위장이 가능하다. 로리안 슈바이커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월밍턴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호그피쉬가 주변 환경에 어떻게 ‘피부 시력’을 작동하는지 확인한 논문을 2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호그피쉬 피부 샘플을 채취해 ... ...
서울대 국내중성미자실험(RENO), 유럽고에너지물리학회 학회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수상한 세실리아 얄스코그 스웨덴 룬드대
교수
연구 그룹이 공동 수상했다. 얄스코그
교수
연구그룹은 CP 대칭 붕괴를 이론적으로 정립했다. RENO와 다야 배이 실험그룹은 이 대칭성 깨짐현상을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물질과 반물질의 CP 대칭성 깨짐은 물리학은 물론 ... ...
"남극해수면 온도 변화 없는 것도 지구온난화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다른 지역에 비해 남극 해수면 온도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이다. 박원선
교수
는 "연구를 지속하다보면 온난화와는 무관해 보이는 현상도 지구 온난화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며 "기후 현상을 더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후 모델을 보다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 ...
탄소 저장고인 남극 바다가 오히려 탄소 배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박기홍 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책임연구원, 모아라 연수연구원, 김태욱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2017년 3월에서 2018년 2월까지 남극세종과학기지 부근 마리안소만에서 장기해양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이 지역 바닷속 이산화탄소 관련 인자들을 기반으로 대기와 바다 사이의 탄소 교환을 연구한 ... ...
독일 막스플랑크 ‘핵융합 발전 연구소’ 현장을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3
플라즈마가 번개처럼 곳곳으로 튀며 슬며시 사라진다는 것이다. 울리크 스트로크
교수
는 “해당 설비는 현재 플라즈마를 10초 정도 가둘 수 있으며 똑같이 토카막 방식을 사용한 한국의 KSTAR는 30초 이상 플라즈마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플라즈마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가둘 수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