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뉴스
"
주장
"(으)로 총 5,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아주 드물게 생존에 유리한 돌연변이가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극중 급진파 돌연변이들의
주장
처럼 기존 종(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진화론에 따르면 ‘좋은’ 변이(돌연변이 포함)란 미리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급변하는 지구 환경에서 가장 잘 적응한 변이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
STAP 세포 사태, 향후 쟁점은
과학동아
l
2014.06.05
“STAP세포가 애초 존재하지 않았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보카타 주임이 만들었다고
주장
한 STAP 세포를 외부 기관으로 보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어느 하나도 쥐의 세포의 유전자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정범 울산과기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STAP 세포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생물체의 ... ...
김희애의 ‘특급 피부’ 갖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4.06.04
있다”며 “p16INK4a 유전자를 노화를 측정하는 분자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
했다. 이 연구결과는 ‘분자의학경향’ 5월 28일자에 실렸다.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모두 철회
과학동아
l
2014.06.04
블로그에는 일본 언론 보도를 인용해 오보카타 연구주임이 쥐의 세포에서 확립했다고
주장
한 STAP 세포주 8개를 포함해 STAP 세포주 20개를 외부 기관에 보내 검증한 결과, 어느 하나도 쥐의 모세포와 일치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올라왔다. 이에 따라 향후 STAP 세포 사태는 STAP 세포의 존재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렙톤 수(lepton number)’를 보존하기 위해 전자와 함께 반(anti)뉴트리노가 나와야 한다고
주장
하면서 갑자기 진지해졌다. 렙톤 수 보존이란 붕괴 전후 렙톤의 개수가 유지돼야 한다는 조건으로, 중성자(렙톤 없음)가 양성자와 전자(렙톤 1개)로 붕괴될 때 반렙톤(antileption)이 하나 나와야 렙톤 수가 ‘ ... ...
[문화 칼럼/이덕환]‘세월호 참사’로 돌아본 과학교육
2014.06.03
절박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 교육학과 정치학까지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
은 황당한 것이다. 한국사를 포함한 ‘역사’ 과목은 감춰두고 ‘사회’와 ‘과학’의 균형을 강조하는 꼼수도 용납할 수 없다. 이러다 문·이과 통합이 아니라 이과 폐지의 가능성을 심각하게 걱정해야 하는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
과학동아
l
2014.06.03
와카야마 교수는 논문이 게재되고 한 달쯤 지난 3월 10일부터 논문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
해왔다. ‘네이처’는 저자 전원의 동의 하에 논문을 철회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지만, STAP 세포의 경우 와카야마 교수와 오보카타 주임을 포함한 논문의 교신저자 3명이 모두 철회에 동의했기 ... ...
'옥수수 박사'의 감동적인 고백
과학동아
l
2014.06.01
상상나무 제공 ◆하루하루가 기적이다 (김순권 著, 상상나무 刊) 육종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옥수수 박사’로 유명한 김순권 박사에 대해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이 책은 저자 ... 질환과 관련된 뇌 부위와 활동 패턴을 면밀히 분석해야 제대로 된 치료가 가능하다고
주장
한다 ... ...
“과학이 사회와 호흡하도록 과학계 문화를 바꿔야죠”
과학동아
l
2014.05.30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싣는 데만 전념하는 과학계의 문화가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
했다. “과학의 성과를 얼마나 유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느냐로 평가하는 시스템이 과연 언제까지 유지될까요. 과학은 그들만의 상아탑을 벗어나 사회와 공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실제로 ...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8
세포의 항균 능력을 강화시켜 결핵균의 접근을 억제하는 식의 치료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
이 많았다. 연구팀은 결핵균이 감염된 생쥐의 대식세포에 대사조절 단백질 활성화에 관여하는 화합물 아이카(AICAR)를 처리해 자가포식을 유도했다. 그 결과 자가포식이 활성화될수록 결핵균은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