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 인구피라미드 나이별 남녀 인구수를 하나의 표로 나타낸 것이다. 인구구조를 한
눈
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나이가 높아질수록 여자인구가 남자인구보다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산율이 높고 사망률이 높으면 전체 모양이 피라미드 모양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처럼 출산율과 ... ...
눈
송이 크리스마스 카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정육각형은 다시 정삼각형 6개로 구성된다.원 모양의 동전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눈
결정을 수학적 도형으로 생각해 보자. 먼저 평면 위에 같은 크기의 동전을 여러 개 준비한다. 한 개의 동전을 같은 크기의 동전 몇 개로 둘러쌀 수 있을까? 하나의 동전은 6개의 동전으로 둘러쌀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나와. 내가 크리스마스에 선물을 줄 수 있는 어린이 수는 2152명이 최대인 거야.지금쯤은
눈
치를 챘겠지, 이 편지를 왜 썼는지. 산타는 너희들이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많아. 조금만 더 생각하면 금방 알 수 있을 거야. 그러니까 산타가 못 올까 걱정하지 말고 착한 일 많이 해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적외선을 잘 감지하도록 진화했을 수 있다. 가시광선이 별로 없기 때문에 사람의
눈
으로 본 글리제581g의 풍경은 단조롭고 어두침침할 것이다. 글리제581g는 어미별에 언제나 같은 면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행성의 어두운 면에서는 살 수 없다. 식물은 빛이 비치는 쪽에만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계공학 지식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국내외 로봇 기술의 현주소를 한
눈
에 볼 수 있는 대형 전시회가 열린다.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주관하는 ‘로보월드 2010’이다. 5회째를 맞는 올해는 10월 27일부터 31일까지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팬은 모두 8개인데 이것을 모두 가동하면 초속 20m의 바람을 불어 낼 수 있었다. 또
눈
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수조에는 초속 0.5m의 조류가 흐른다. 장거리 선박을 위한 선형시험수조해양공학수조 바로 옆 건물에는 선형시험수조가 있다. 해양공학수조가 피겨스케이팅이라면 선형시험수조는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한다고 말했다. 윤 본부장은 “인터디지털은 미래에 유망한 기술을 미리 파악하는
눈
을 가지고 시장의 특허나 아이디어를 매입하는 방법으로 막대한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면서 “한국 특허청도 2009년부터 유망한 아이디어를 매입해 특허등록까지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대식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용액 내에 존재하므로 빛을 투과시키면 빛의 산란이 일어나 빛이 진행하는 경로가
눈
으로 보이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3) 먼저 구형의 미셀이 만들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자. 비누 분자 n개가 모여서 구형의 미셀을 형성한다고 할 때 비누 분자 1개의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을 A,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쬐면 브롬화은이 분해돼 미량의 Ag+이 Ag로 환원된다. 이때 환원되는 은은 매우 미량이라
눈
에 보이지 않는데, 이를 잠상이라고 한다. 잠상이 생긴 필름을 히드로퀴논 또는 메톨 같은 현상액에 넣으면 Ag+가 Ag로 환원되면서 검은 상이 나타난다. 이것을 현상이라고 하는데, 현상액은 Ag+을 Ag로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해부학적인 구조를 망가뜨리지 않은 채 단백질을 조사할 수 있다. 카프리올리 교수는 “
눈
으로 단백질의 분포를 볼 수 있다는 게 중요하다”며 “말디를 이용한 영상 기술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토프(TOF)는 ‘이온 비행 시간차(Time of Flight)’의 ... ...
이전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