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원폭 60주년 '히로시마의 종이학'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턱이 없었다.당시 히로시마의 인구는 약 31만명. 그 중 9만 내지 14만명이 원자폭탄이 터진
이후
4개월 내에 죽은 것으로 알려진다. 물론 살아남은 자 역시 방사선 피폭의 고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방사성 물질 거의 사라져히로시마는 아름답고 밝았다. 2차대전 때 지하벙커에 군 사령부와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이 때문에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 사이에 존재하는 비례 관계가 무너진 것은 아니었다.
이후
허블상수를 좀 더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됐다.20세기 후반에는 허블상수가 50~90km/s/Mpc이라고 알려졌다. 1990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우주에 설치된 뒤 허블상수는 더욱 정확해졌다. 2001년 ... ...
한밤에 다리 건너기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아키라의 ‘두뇌의 체조’에 등장하는 것으로 무선 조종되는 우주선을 옮기는 내용이다.
이후
배 네 척을 반대쪽 강가로 옮기는 문제로 알려지기 시작하더니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입사 지원자 면접에서 위 문제를 사용했다고 알려지면서 유명해졌다. 물론 MS가 정말로 이 문제를 썼는지는 알 수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도청의 ‘방패’가 아니다. 통신 직전 암호 공유해CDMA가 도청이 안 된다던 국정원은
이후
슬쩍 말을 바꿨다. 휴대전화 도청은 기지국 200m 이내에서만 가능하며 도청 대상자도 120도 각도 안에 있어야 할 뿐 아니라 휴대전화의 무선 구간 도청은 불가능하며 유선 구간 도청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무슨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현미경’을 제목으로 달고 나온 경우도 있다.그러나 이 같은 사고방식은 1910년대
이후
신경쇠약과 결핵이 전면에 등장하면서 바뀌기 시작한다. 목격할 수도 치유할 수도 없으나 명백히 존재하는 병이 발견되면서, 육체 또한 비가시적이고 ‘징후’로만 해독될 수 있는 존재가 된 것이다. 이에 따라 ... ...
보잉 vs 콩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않았다. 영국과 프랑스의 항공사만이 콩코드 14대로 상업 운항을 시작했고, 1980년
이후
로는 콩코드가 더 이상 제작되지 않았다. 다른 항공사들은 연료 효율이 높고 한번에 많은 승객을 실어 나를 수 있는 보잉 여객기를 선호했다.영국과 프랑스가 콩코드 운항을 지속한 이유는 뭘까. 결코 경제적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곳을 선택할 계획이다. 2015년 달, 2020년 화성예정대로라면 CEV는 2008년 제작이 완료된다.
이후
시험 비행을 거쳐 201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첫 발을 내딛게 된다.우주정거장 건설이 주 임무였던 왕복선과 달리 CEV는 달 기지 건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NASA는 이르면 2015년, 늦어도 2018년부터는 매년 최소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늘고 있다. 인터넷 카페 ‘아프간하운드 쎄이’(cafe.daum.net/sky663)는 개 복제가 알려진
이후
회원이 1000명을 훌쩍 넘어섰다고 한다.개를 이용한 생명과학 발전사1888 : 광견병 백신 개발광견병은 광견병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병이다. 루이 파스퇴르(위 사진)는 이 질병이 전염성이라는 것을 밝히고 개와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태어났다. 이 양에는 ‘돌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세계 최초의 복제동물이었다. 돌리
이후
‘스너피’까지 복제동물은 모두 13종으로 늘었다(100쪽 그림 참조). 한국에서 태어난 복제동물도 1999년 복제소 ‘영롱이’를 시작으로 5종이나 된다. 앞으로 과연 어떤 복제동물이 태어날까.한국에서 가장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기능은 공포를 학습하는데 있다. 즉 이전에는 공포를 유발하지 않던 대상이 특정 사건
이후
공포의 대상이 되는 경우다. 흰쥐에게 물리면 아픈 자극과 흰쥐를 구성하는 모든 자극들이 편도체에서 연합이 일어난다. 통증을 느꼈던 기억과 흰쥐의 모양이나 색깔 같은 정보가 섞인다는 얘기다. 그러면 ... ...
이전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