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1,70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
과학동아
l
201205
몇 사람이 하기 힘든 데이터 분석 연구를 할 수 있었다”며 “연구 결과는물론 데이터도
공개
해 다른 집단지성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05
바다 속 상태를 장흥군에 위치한 노력도연구센터 인근 전라남도 어민에게 시범적으로
공개
할 계획이다. 물고기는 바다 속 환경에 따라 적응하기 좋은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바다 속 온도나 염도 상태를 알면 어떤 물고기가 언제 어디에 있을지 알 수 있다. 전복이나 어패류 가두리 양식을 하는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05
프랜시스그룹은 지난 2009년 비행접시를 닮은 삼각형 모양의 선박 디자인(왼쪽 그림)을
공개
했다. 아직 상용화하지는 않았지만 구조 설계와 몇가지 테스트를 통해 조용한 바다에서 운항할 경우 150노트의 속도를 내는 것이 가능하다.이 초고속 선박은 더 빨리 항해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선체를 ... ...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
과학동아
l
201205
봉사 활동 등 특별한 과학 체험을 할 수 있어요. 또한 과학특별시에서는 다양한 미션들을
공개
합니다. 과학특별시민들이 미션을 차근차근 수행하다 보면, 푸짐한 선물도 받고 해외 탐사의 기회까지 잡을 수 있어요. 해외 탐사 후에는 동아사이언스 잡지에 자신의 글과 사진이 실리는 특별한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05
광명성 3호 발사 실패 후 우리 군은 지난 19일 순항 미사일을 이례적으로
공개
했다. 군 당국은 “북한 전역을 즉각 타격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와 타격 능력을 갖춘 순항 미사일을 독자 개발 배치했다”고 밝혔다.국산 순항미사일 ‘현무-3A’와 ‘현무-3B’의 사거리는 각각 500km와 1000km다.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04
모습을 연구할 수 있다. 2010년 7월에는 임무 시작 이후 처음으로 전체 하늘의 관측 영상을
공개
했다. 현재 플랑크는 하늘 전체를 고주파(100~850GHz)와 저주파(30~70GHz)로 나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먼저 고주파 영역의 관측을 마쳤다.마지막으로 다른 이유 때문에 우주로 올라간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04
핵심이다. 우리나라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거가 끝날 때마다 투표, 득표 데이터를
공개
하고 있다. 하지만 각각 전국 1만 3167곳(17대)과 1만 3246곳(18대)의 투표소에서 2158만 1550명(17대), 1741만 5666명(18대)의 투표자가 만들어낸 선거 데이터는 대단히 복잡하고 방대하다.데이터시각화는 데이터를 더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04
한국의 과학도시는 순위에 없는 걸까. 세계적인 저널 출판사 엘제비어가 네이처에
공개
한 자료를 보면, 한국의 과학논문 출판 수는 상위권이지만, 인용지수는 세계 평균(1)에 못 미치는 0.96에 불과하다(2008년 기준. 오른쪽 위 표). 집계된 도시 가운데 중하위권이다. 그마저도 서울만 포함돼 있다. ... ...
내 안에 고릴라 있다?
과학동아
l
201204
고릴라의 유전자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불과 1.75% 밖에 다르지 않다는 분석 결과가 처음
공개
됐다.애일윈 스컬리 영국 웰컴트러스트 생어연구소 박사팀은 콩고 등 아프리카 서부 열대우림에 사는 서부저지대고릴라의 전체 유전체(게놈)를 분석하고 침팬지와 인간, 오랑우탄의 유전체와 비교한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04
오래된) 440만년전에 살았던 화석종입니다. 라미두스는 2009년에 전체 골격이 모두
공개
됐고 그 해 말 ‘사이언스’에서 ‘올해의 발견’으로 선정할 정도로 인류학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지요.다시 뒤집힌 가설 : 직립보행은 아니다?라미두스가 이렇게 큰 파장을 불러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