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06
- 해군수중전투연구센터의 제스 벨든 박사와 미국 유타 주립대 기계항공우주공학과의 랜디 허드 교수 연구팀은 물수제비를 하기에 가장 알맞은 돌멩이의 모양을 찾는 실험을 했어요. 또 물수제비가 생기는 과정을 관찰해 돌이 어떻게 수면을 튕겨 날아가는지 원리를 밝히고, 물수제비 모양을 ...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06
- 간세포가 괴사하거나 위와 쓸개가 비대해지는 증상이 나타났다.조경현 영남대 의생명공학과 교수는 2012년 독성실험에 많이 쓰이는 어류인 ‘제브라피시’를 이용해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폐뿐만 아니라 심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살균제로 죽은 제브라피쉬를 해부한 결과, ...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06
- 한정된 먹잇감 가운데 무엇을 주식으로 삼느냐는 야생에서의 생과 사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이 선택에 따라 몸은 물론, 사회구조와 행동양식도 바뀐다. 야생의 생존게임에서 최종 승리한 원숭이들의 먹잇감 차별화 전략을 살펴보자.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당장 오늘 점심에 무엇을 먹을 ...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6
- 후각, 촉각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돼 있다. 고현협 UNIST 에너지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촉각뿐만 아니라 소리도 인식하는 전자피부를 최근 개발했다. 아직은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06
- 현대모비스 연구개발본부 팀장(ADAS 양산화 기술 및 향후 전망), 서승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자동차 혁명과 완전자율주행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이 세미나에 참석했다.“우리더러 별난 조직이라고 하더군요. 예를 들어 로봇학회에서 연구자들끼리 만나면 로봇의 기능을 어떻게 ...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06
- 그에겐 없다. 대신 화려한 경력이 그 공백을 메우고 넘친다. 정연우 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는 영국 왕립예술대학원에서 자동차 디자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10여 년간 영국 벤틀리와 현대자동차에서 자동차 외장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디자인상도 여러 번 수상했다. 실무 감각이 ... ...
-
- BRIDGE. 일+취미수학동아 l201605
- 아는 소설가라고 인정해 주네요.”김 작가의 이력은 매우 특이하다. 대학에서는 신소재공학을 공부했고, 우리나라 경제 발전을 위해 연구하는 한국개발연구원에서 6년간 일했다.“과학 기술과 관련된 소설을 쓰고 싶어서 공대에 갔어요. 무슨 근거 없는 자신감인지 모르지만 당시에 글은 쓰면 잘 쓸 ... ...
-
- [과학뉴스] ‘마당발’ 그래핀, 기름 유출 방제도 거뜬과학동아 l201605
- 기름을 그래핀으로 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용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물에 떠 있는 기름을 99.9%의 정확도로 분리해 낼 수 있는 방제기술을 개발하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29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강철보다 강도가 20배가량 세고 구리보다 ... ...
-
- [과학뉴스] 곤충 다리의 천연 ‘깁스’과학동아 l201605
- 아래 몸을 감싸는 단단한 조직으로, 근육이 붙는 골격이다.아일랜드 트리니티대 재료공학과 데이비드 테일러 교수팀은 사막 메뚜기의 다리가 부러졌을 때 큐티클 붕대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는지 측정했다. 그 결과 다치기 전 다리 힘의 66%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포식자를 ...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05
- 이 중 CGT를, 사람은 CGC를 많이 사용하는 등 빈도의 차이가 있다.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빈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최종산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사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쓰고자 한다면 대장균의 생체 시스템이 좀 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