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e
roma
롬
d라이브러리
"
로마
"(으)로 총 55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03
'불의 행성'으로 알려졌고, 바빌로니아에서는 죽음과 질병의 상징으로, 그리고 그리스와
로마
인들에게는 '전쟁의 신'으로 숭앙됐었다.17세기 초 망원경이 등장하면서 망원경으로 본 화성은 전에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임이 밝혀져 '불의 천체'에 대한 인식은 새로워졌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화성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03
있고, 위로는 2개의 알이 있었다. 그리고 그 모두는 꼬챙이로 꿰어져 있었기 때문에
로마
식 계산패와는 달리 어지간히 흔들고 다녀도 별로 문제가 되지 않았다.피나는 노력이 필요20년전만 하더라도 주판은 모든 회계의 기본도구였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정해진 공인기술의 급수가 부여되었다.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02
인쇄기술이 발명되기 이전에 찾을 수 있는 가장 큰 도서관도 있었다. 또한 이집트는
로마
제국의 곡창이었다.중세기 동안도 이집트는 모슬렘 세계에서 강국으로 유지돼왔다. 오늘날도 5천만인구가 나일강을 따라 대부분 삼각주에서 농사지으며 생활하고 있다.그러나 이제 나일강의 삼각주는 최악의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01
한글화 작업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스' 등의 보급으로 대단히 간편해졌다는 것이다.
로마
자와는 달리 모아써야 하는 한글과 한자의 지원은 이 분야에 대해 경험이 없는 외국업체들에게 거추장스럽고 부담스러운 일이었으나 한글과 한자의 처리가 윈도스에 의해 해결이 되면 윈도스 환경에서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12
역사가인 요세푸스(A.D. 37~100)에 관련된 얘기도 레크리에이션 수학의 일종.요타파타가
로마
에 포위됐을 때 요세푸스는 40명과 같이 동굴에 숨었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살아 남았다.기독교가 주 종교인 서구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흥미를 끌었다고 한다. 15명의 그리스도교인과 15명의 ... ...
너무 먹어도 탈, 너무 안먹어도 탈
과학동아
l
199011
아니다. 그 역사는 고대
로마
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풍요로운 삶을 만끽했던 고대
로마
의 귀족들은 주연을 잘 열었다. 이 주연의 참가자들은 더 많은 음식을 먹기 위해 억지로 토하는 진풍경을 연출하곤 했다.이 엉뚱한 폭식이 대학생 연령의 여성들에게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음을 알아낸 것은 197 ... ...
키보드없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11
똑같은 방식이다.AI노트는 스트로크(글씨 쓰는 것) 순서가 중요하다. 숫자와
로마
자에서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쓰여진 '0'자만을 받아들이고 '0'자를 시체 방향으로 쓰면 컴퓨터는 그것을 '2'자로 인식한다.AI노트의 가장 뛰어난 기능은 계산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보통 종이 ... ...
PART4 소피아 안티폴리스
과학동아
l
199010
30℃, 최저 0℃로 아열대의 지중해성 기후다.사시사철 꽃이 피는 이곳은 유사이래 그리스
로마
등의 문명의 발자취가 아직 남아 있는 곳이며, 화가 음악가 문인 등 예술가들이 활동하던 무대로 그들의 유품이 곳곳에 보존되어 있다. 인근의 휴양문화도시 칸과 니스까지는 자동차로 30분 이내에 도착할 ... ...
특수문자처리와 모양내기
과학동아
l
199010
나뉜다. 그 아래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개의 자판이 있다. 한글 : 2벌식 3벌식 고어 3벌식 #2
로마
자영문 : 미국(Qwerty) 드보락(Dvorak) 프랑스 독일 영국 덴마크1 덴마크2 스웨덴 이탈리아 스페인1 스페인2 노르웨이 라틴일어 : 히라가나 가타카나 Hiragana Katakana전각문자 : 영문자 고어자모 한글 자모 기호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10
곳에 잘 보관하기만 하면 수십년 이상 저장할 수 있다.폭죽은 고대 인도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특히 그 원형이라고 할 봉화는 기원전부터 행해졌다. 고대 중국에서도 봉화를 전쟁터의 신호용으로 활용해 왔다. 그러다가 7세기 초 수나라 양제에 이르러서는 원시적인 폭죽이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