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d라이브러리
"
게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결과 1998년 1월 미국 암학회지인 ‘캔서 리서치’에 간암에서의 혈관연구에 대한 결과를
게재
했다. 이때부터 그들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하지만 박 교수는 그해 가을 고혈압으로 인한 갑작스런 뇌출혈로 사망하고 말았다. 김 교수에게 있어 박 교수는 단순한 공동 연구자가 아니라 형제나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산소 농도와 2천5백미터 고지대의 저산소 농도(15%)를 반복적으로 제공한 트레이닝 결과를
게재
했다. 이 선수는 ‘최대 산소 섭취량’이 7% 정도 증가했다. 최대 산소 섭취량이란 운동 중 가장 많이 받아들일 수 있는 산소의 양을 말한다. 보닝 박사는 1997년 ‘국제스포츠의학저널’에서 고지대저산소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전체 염기서열을 해독했다. 이 연구결과는 오는 6월말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게재
될 예정이다. 인간 21번 염색체에는 모두 2백50개의 유전자가 있는데, 이 부분만 비교하면 99% 이상이 동일하다고 한다. 또한 일부과학자는 2백50개 유전자 중 일부 유전자는 사람에게만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생체시계 바늘역할 효소 찾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과정을 밝혀 신경과학 전문 저널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3월 17일 인터넷판에
게재
됐다.포유동물의 생체시계는 뇌의 시상하부에 있으며, 이곳에 있는 생체시계 단백질의 양이 밤낮에 따라 늘고 줄면서 생체리듬이 생긴다. 그러나 생체시계가 어떻게 다른 세포에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지는 아직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병문으로 나누고 각 병문에 대한 고금의 약방(藥方)들을 원문 그대로 취사선택해
게재
했다 담즙산의 하나 담즙산과 같은 모핵구조(母核構造)를 가졌고 곁사슬은 스테롤과 같은 탄소골격을 가진 스테로이드 카르복실산이다 분자량이 큰 알코올 보통 탄소수 6 이상인 사슬알코올을 뜻한다 중요한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없게 된다. 실제로 영국 환경연구위원회의 남극조사팀이 2002년 8월 ‘사이언스’에
게재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남극 펭귄의 수가 반복적으로 증가하고 감소한 것이 기후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여럿이 모이면 시끄럽고, 빙산 위에 올라타는 놀이를 즐기기 위해 줄을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미국 실험생물학회가 발행하는 저명저널인‘파세브’(FASEB)에
게재
가 확정돼 있다.필자의 연구팀은 임신중인 쥐를 3개 그룹으로 나눠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주변온도를 낮춘 스트레스 환경, 넓고 쾌적한 공간에 장난감까지 제공한 좋은 환경, 그리고 보통환경에 2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추적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 동해에도 대양과 흡사한 여러 수괴가 있다어떤 저널에
게재
된 논문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실린 다른 논문에 얼마나 많이 인용됐는가를 나타내는 지수월식 또는 일식에서 천체가 가려지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값 일식은 태양의 지름, 월식은 달의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화제였습니다. 과학전문지와 사뭇 동떨어져 보이는 로댕의 조각 ‘키스’ 사진과 함께
게재
된 한쪽 짜리 논문이 바로 키스를 할 때 어느 쪽으로 고개를 돌리느냐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키스를 할 때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는 사람보다는 오른쪽으로 돌리는 사람이 두배나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저해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결과는 2002년 11월 27일 세계적 생명과학전문지 ‘셀’에
게재
됐다. 지금까지 단백질에 인산이 붙어 그 기능을 조절하는 예는 많이 밝혀져 있었으나, 아세틸이 단백질 기능을 끄고 켠다는 사실을 규명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같은 쾌거는 MALDI-TOF MS 등 첨단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