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시스템
혈통
가계
장치
계열
족보
d라이브러리
"
계통
"(으)로 총 70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유지한다는 것에 힌트를 얻은 것이다. 이러한 생쥐는 암의 발생 및 치료 연구, 면역
계통
연구 등의 실험에 이용된다.농산물 품질개량을 위한 육종학은 그 목적이 신품종 개발에 있지만 생물이 갖는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방사선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형질변환을 시키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 ...
"화학조미료 주성분 MSG는 무해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자주 사용하는 간장 검은콩 새우페이스트 등의 재료들이 발효되면서 형성된 히스타민
계통
의 복합물일 것으로 추정하면서 MSG를 '희생양'에 비유하고 있다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염기치환패턴뿐 아니라 아미노산치환패턴도 같은 식으로 많은 바이러스의 단리주의 분자
계통
도를 작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에이즈 바이러스 외피단백질의 아미노산 치환패턴은 아미노산이 20종 있으므로 20X20의 표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매우 무작위로 변이하는 것처럼 보이는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라반데이라는 "곤충류는 거의 멸종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1억년 이상 그
계통
을 이어가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그는 종의 영속성이란 관점에서, 왜 곤충류가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현재까지 다수 존재하는지를 화석을 통해 증명하고 있다. "어떤 기준으로 보면 곤충류는 성공한 ... ...
전력
계통
통제에 반도체 디바이스 이용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연간 수십억 달러어치의 손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이러한 상황에서 전력
계통
을 보다 고속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근착 '사이언티픽 아메리카'에 따르면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대규모 전력용 반도체 디바이스'라고 한다. 이는 기본적으로는 마이크로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비롯된다. 인간의 시각체계는 광학
계통
망막 시각통로의 세단계로 나눌 수 있다. 광학
계통
은 눈의 구조(그림2)에서 망막을 제외한 부분이다. 주요기능은 입력되는 광선에너지에 담겨 있는 정보, 즉 이미지가 망막 위에 떨어질 때 초점을 맞추어주는 일이다. 광선이 눈에 들어올 때는 제일 먼저 일종의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체계의 가닥을 파악하게 됐다.이 결론에 의하면 청삽살개 집단은 유연 관계는 있으나
계통
이 다른 두 가계(B와 B′그룹)로 이루어져 있으며 황삽살개 집단도 Y와 Y′그룹으로 구분된다. 황삽살개의 Y와 Y′그룹은 청삽살개 그룹간의 유연 관계보다 더 밀접한 혈연 관계를 서로간에 유지하고 있음이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보는 종속과목강문계(種屬科目綱門系)를 떠올려보라. 속간잡종이 가능하다면 동물에서
계통
을 뛰어넘는 교잡은 어디까지 가능할까, 사람과 물고기가 합쳐진 인어공주 같은 상상도 가능한 것일까라는 생각이 한번쯤은 떠오를 것이다.닭의 학명은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Gallus gallus domesticus),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등지느러미와 같은 '방패'를 매단 공룡의 모습은 도감 등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계통
이 다른 공룡그룹 사이에 동시다발적으로 이른바 '수검진화'가 일어난 것은 백악기의 중반, 지구가 다시 고온과 건조에 의한 환경파괴에 둘러싸였기 때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후기 삼첩기에 지구를 덮쳐 ... ...
평생 갚아도 다 갚지 못할 스승의 은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할 수 있는 일을 다 했을 뿐'이라고 할 뿐이었다.일본에서 첫째 가는 진화학자이자 동물
계통
분류학자였던 그분 밑에서 학위 과정을 밟았던 적지 않은 대학원생들은 엄한 성품을 가진 선생과 감히 접촉하기조차 어려웠다. 선생이 작고한 후 학회에서는 추모 기념 학술지를 간행하기도 했고 그 분의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