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축"(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정확한 분류는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해결되지 않는다”며 현재 수준에서라도 자료를 구축하는 체계는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한다.이렇게 모은 자료는 해양생물지리정보시스템 OBIS에 수록된다. 현재까지 10만 4000종의 분포와 출현 정보가 수록돼 있다. OBIS 홈페이지(www.iobis.org)에서 지도 속 한 점을 ...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전자태그(RFID)를 이용해 어린이의 위치를 보호자에게 알려 주는 어린이안전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보호자는 아이의 현재 위치를 문자메세지와 어린이 안전포털에 서 확인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경찰과 119에서 즉시 출동한다.네버랜드에서도 조심! 놀이 안전바야흐로 어린이들이 ... ...
- 기초과학 위에 세운 첨단 공학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세계 최고 수준의 극초단고출력레이저 시설인 광양자빔 시설(1페타와트-1조와트급)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GIST는 이 시설과 더불어 광응용공학의 핵심인 LED, 태양전지, 광섬유, 광통신 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광융합기술을 선도한다. 광공학응용물리학제전공에서는 이러한 세계적인 광융합기술 ...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0년 08호
- 2002년 국내 해역 전역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의 오차를 1m 이내로 줄인 DGPS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을 갖춘 선박은 한국 근해에선 언제 어디서나 바닷길을 찾을 수 있다. 군함은 레이더 위에 자신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레이콘’ 장비를 쓰기도 한다. 이런 ‘전파표지’ 방식은 사용이 ...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기반 기술과 인원, 예산을 확보하고 산업체를 양성해 독자적인 발사체 개발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장 교수는 이를 위해 “표본 엔진이 있어도 신형 엔진 개발에 최소 7~8년 이상 걸리는 해외 사례만 보더라도 2020년까지 75t급 액체로켓을 개발하고 이를 4개 이어붙이는 클러스터링 기술을 ...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같은 곳에서 이용하려면 엄청난 양의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서열해독이 싸질수록, 즉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급증할수록 심각한 병목현상이 일어나 생명정보학 분석은 더욱더 중요해질 것이다. 현재 많은 유전체학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군용인지 민간용인지 구별하기 무척 힘들고, 사실 구별할 수도 없다. 독자적인 GPS를 구축하려는 국가는 유럽연합(2013년 목표), 중국(2012년 목표), 일본이고 이들 국가의 잠수함 활동범위는 아직 제한적이다. 앞으로 더 정교한 시스템이 나오면 오차가 줄어들고 조종사 없는 비행기, 선장 없는 배, ...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확보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최근 호주에서는 중형 규모의 미생물연료전지를 구축해 맥주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고 전기를 얻는 가능성을 시험했다. 여기서 생성된 최대 전류밀도는 전극면적대비 0.5W/m2, 부피대비 8W/m3로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었지만 약 6개월간 ...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국내에 기여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NASA는 천문학 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발간되는 논문만 등록돼 있었다.천문학 선진국과 협력하는 유일한 기회라고 여긴 이 교수는 NASA 담당자에게 연락해 국내에서 발간된 영문학술지를 등록했다. 거대 ...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선정해 전력을 운영하게 될 전망이다.공군 우주전문인력 뽑는다공군은 우주전력을 구축하기 위해 3단계 발전계획을 수립했다. 최근 완성된 발전계획은 1단계로 2020년까지 한반도 상공을 감시하는 전자광학 우주 감시 체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주기상 예보체계도 완성할 예정이다.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