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방
배후
뒷면
이면
뒤
뒷전
뒷쪽
d라이브러리
"
뒤쪽
"(으)로 총 586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밑이 어둡다고 바로 위의 오리온은 황소 사냥에 정신없지만 사냥감을 발견한 큰 개가
뒤쪽
에서 바싹 좇고 있다. 작고 귀여운 토끼를 떠올리고 토끼자리를 보면 생각 외로 큰 모습에 어리둥절할 수도 있다. 토끼의 귀를 나타내는 두 별이 그나마 토끼의 모습을 짐작하게 해준다. 그러나 길이가 좀 짧은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장마전선도 탐사팀이 도착하자 잠시 쉬어가는 듯했다. 탐사팀은 여장을 풀자마자 숙소
뒤쪽
으로 예비 탐사를 떠났다. 해발 5백70m인 이곳은 백두대간의 능선에 위치한다. 멀리 남쪽 백두대간이 시작되는 봉우리인 마산(높이 1천52m)이 보였다.처음 만난 것은 자작나무와 토끼풀. 자작나무는 잘 몰라도 ... ...
Ⅳ 사인 감독과 주자 그들만의 언어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 정도가 전부라면 투수의 공은 상대편에게 쉽게 노출될 것이다. 사실 주자가 투수
뒤쪽
인 2루에 나가면 포수가 아무리 쪼그려 않은 채 사타구니 사이에서 사인을 낸다 하더라도 훤히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인을 복합적으로 만들게 되고, 포수가 손가락을 여러번 오므렸다 폈다 하는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버스를 기준으로 생각하게 되지 않겠습니까? 따라서 좀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손잡이에
뒤쪽
으로 무슨 힘이 작용한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실제로 힘이 작용한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편의상‘관성력’이라는 개념을 도입한거죠.문 : 관성력은 어떤 경우에 나타난다고 보나요? 그리고 그 크기는 ... ...
종이로 부리는 무게중심 묘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테이블 위에 올려놓으면, 강아지의 아래 부분이 서서히 벌어지면서 무게 중심이
뒤쪽
으로 조금씩 옮겨진다. 이렇게 이동하는 무게중심이 회전의 중심점보다 뒤로 옮겨지면 강아지가 회전하게 되므로 앞발을 들고 발딱 일어선다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다 쏘고 난 오디세우스는 단검을 들고 휘두르고 있다.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
뒤쪽
에 나오는 참혹하면서 감동적인 이야기다. 이것도 역시 작은 도기 그림이지만, 대형 패널 그림이나 원작 벽화의 구성을 베껴왔을 가능성이 크다. 이 그림의 특징은 복수의 결전이 이뤄지는 궁정 내실의 밀폐된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정교수_ 망막에 빛이 오면 빛이 신경섬유를 따라서 대뇌로 가거든요. 시각 담당이 뇌
뒤쪽
에 있어요. 신경이 눈으로 교차해서 가는데, 그 선을 따라서 갈 수가 없어요. 빛이 나와서 그 시각 중추까지 가려면 섬유들이 몰려 있는 길을 따라 가야 하는데, 제대로 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상준_ 그것도 ... ...
표면장력이 부리는 물의 마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잡아당기는 표면장력을 약화시킨다. 때문에 배 앞뒤에 물의 표면장력에 차이가 생긴다.
뒤쪽
물의 표면장력은 작고 앞쪽 표면장력은 그대로인 것이다. 따라서 배는 표면장력이 큰 앞쪽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된다.물방울이 공모양인 이유 표면장력물방울이 둥근 것이나 소금쟁이가 물 위를 걷는 것은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밀도가 낮아 위로 올라가기 때문이다.가마 모양의 또다른 특징은 천정이 원형이 아니라
뒤쪽
으로 약간 기울어진 타원형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가마에서 오랫동안 열기를 머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전통가마에서 우리 선조들이 불을 어떻게 다뤘는지를 엿볼 수 있다. 도자기 빛깔의 ... ...
인간 감각 흉내낸 생체모방 센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망막에 정확한 상이 맺히도록 한다. 망막은 눈을 통과한 빛이 최종적으로 맺는 눈의 가장
뒤쪽
부분인데, 감지된 신호를 시신경을 통해 대뇌로 보낸다.이렇게 복잡한 눈의 구조를 모방한 대표적인 센서가 영상 카메라다. 흔히 볼 수 있는 사진을 찍는 카메라가 여기에 속하는데, 연속된 영상을 찍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