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제"(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발전해 나갈까. 우선은 현재까지 닦아온 길을 더 열심히 닦아야 한다. 이 교수는 “문제 없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타입 검사 시스템이 더 정교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지도 생각해봐야 한다. 류 교수는 “오늘날 소프트웨어는 많은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만든다면 차는 정말 가벼워진다. 다만 누가 그 차를 타고 다닐 수 있는가는 별개의 문제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 볼 포인트는, 재료가 가벼워진다고 해서 강도 등 다른 중요한 특성들이 저하돼선 안된다는 점이다. 금속의 강도는 유지하면서 밀도는 낮추는 대표적인 방법은 속을 텅 비게 만드는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고체 추진제와 성능이 유사한지가 이 시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Alice의 예상 못한 다른 문제점은 없는지, 추진제로 사용 가능한지 등도 판단할 수 있죠. Alice는 처음 시도하는 개념의 로켓 추진제여서 성능 비교를 위한 기준 자료가 없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고체 추진제 연료(히드록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어떤 국가들이 얼마큼의 기여를 했고, 앞으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전 지구적 문제인 기후위기 상황을 화려한 일러스트로 확인하고,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세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블랙아웃 챌린지(기절놀이)’를 통해 목숨을 잃은 학생도 있었지요. 마지막 문제는 미나 예술을 감상하는 시각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에요. 여러분은 만약 2시간짜리 영화를 10분 만에 요약한 숏폼을 보았다면 해당 영화를 온전히 다 본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다시 그 영화를 보지 ...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진실과 거짓이 교묘하게 섞여 있어요. 김건우 학교 시험 문제에 나온 증명 문제를 챗GPT에 넣어봤어요. 풀이 과정이 그럴듯해서 대충 보면 맞아보였어요. 그런데 들여다보니 조건 자체가 심각한 오류인데도 넘어갔더라고요. 양현영 맞아요. 다른 효율적인 방법이 있는데도 챗GPT는 자신이 학습한 ... ...
- 입시 문제로 꼭 나온다! 챗GPT, 인류에게 득일까? 실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변했는지 알아봤으니 기사에서 확인해 보세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입시 문제로 꼭 나온다! 챗GPT, 인류에게 득일까? 실일까?Part1.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Part2.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인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밝혀진 것이 많지 않다. 아웃포스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스타트업이다. 인공위성이 임무를 마치고 귀환할 때 방열 차폐막을 펼쳐 속도를 감소시키고, 그 이후 낙하산을 펼쳐 무사 귀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기술을 본격 개발하면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돈이 되기 때문이라는 점 하나만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이건 호기심으로 설명해야 할 문제죠. 지성을 갖게 된 이후로 인류는 자신이 어디서 왔는지에 대한 답을 찾고 있어요. 철학, 예술, 과학 등 분야가 다를 뿐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질문에 답하는 수많은 지구인 중 하나입니다. 우리의 답은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입문한 한국인 생물학도들도 그 경험을 살려 연구자로 발돋움하는 기회를 잡기도 했다. 문제는 일본인 연구자들이 많은 연구를 너무 급하게 진행했다는 것이다. 국제학계에는 한반도의 생태에 대해 연구하는 이가 거의 없었고, 신종을 발견했다는 일본인 연구자들의 주장은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