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착시란 눈이 인식한
물체
의 모습이 실제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것을 말해요. 뇌는
물체
를 정확하게 보기 위해 주변 상황을 함께 인식해서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각 정보에 변형이 생겨요. 착시로 인해 실제로 없는 점이 보이거나 선들이 휘어져 보이기도 하죠. ‘이중 중심축 착시’의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2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우리은하의 중심을 들여다보며 알 수 없는 아주 무거운
물체
가 은하계의 중심에서 별들의 궤도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기어코 발견해냈습니다.만약 다우드나 교수가 자신의 전공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엔 관심도 없었더라면 어땠을까요? 게즈 교수가 오랫동안 답이 나오지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우선 태양 중력렌즈의 초점은 태양에서 550AU 떨어진 곳에 있어요. 현재까지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우주 가장 멀리까지 날아간 보이저 위성이 약 150AU 거리에 있는데, 이보다 3.7배 먼 곳까지 우주망원경을 보내야 하죠. 슬라바 투리셰프 박사는 “작은 군집 위성 여러 대를 보내면 보이저 위성보다 ... ...
[특집] 종이접기로 에프매스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만들어라!Part1. [특집] 종이작품이라고 다 종이접기가 아니다!Part2. [특집] 모든
물체
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Part3. [특집] 수학의 근간인 공리가 종이접기에도?Part4. [특집] 종이접기로 수학 문제도 푼다!Part5. [특집] 따따따! 따~! 따~! 따~! 따따따! 종이접기 꿀팁 알려주세요~Part6. [특집] 미션 ...
[특집] 따따따! 따~! 따~! 따~! 따따따! 종이접기 꿀팁 알려주세요~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그리고 어떤 종이로 접는 게 좋을지, 무슨 색으로 접을지 등을 정합니다. 종이접기로
물체
의 곳곳을 자세히 만들어내면 좋겠지만 종이는 한정돼 있으므로 강조할 부분과 생략할 부분을 정합니다. 종이가 작거나 두꺼울수록 생략해야 하는 부분은 더 많아지죠.Q 종이접기의 매력은 무엇인가요?먼저 ... ...
[화보] 유기젤 레시피...무생물에 숨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생화학자인 엘즈비에타 쿠로프스카의 손을 거치면 어둠 속에 숨죽이고 있던
물체
는 생동감 넘치는 생명체로 되살아난다. 오랫동안 과학계에 몸담아 온 작가는 유기 젤(organic gel)로 생명체의 모습을 구현했다. 작품 내부에서 발산되는 신비로운 빛을 포착하기 위해 각도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 ...
[특집] 모든
물체
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위에 이 삼각형들을 적절히 배치했죠. 그리고 종이를 접었을 때 삼각형들이 모여 3차원
물체
를 만들 수 있도록 수십, 수백 개의 주름을 삼각형 사이사이에 배치했습니다. 이때 접는 주름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그렸죠.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평면을 수학적으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구현하려는 시도도 있다. 인공지능에 공이 튀는 현상,
물체
와
물체
가 충돌하는 현상,
물체
가 미끄러지는 현상 등을 학습시켜 현실 세계의 물리 법칙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소스코드를 짜도록 만드는 것이다.한정현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물리 엔진을 구현하는 연구는 ... ...
고생대 최강 어류, 둔클레오스테우스...턱 힘으로 오른 ‘끝판왕’ 자리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합쳐질지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보니 둔클레오스테우스 턱 힘은 약 6000N(뉴턴·1N은 1kg의
물체
를 1m/s2로 가속시킬 때 필요한 힘)에 달했다. 오늘날 바닷속 최상위 포식자인 백상아리의 턱 힘(약 2341N)보다 세 배가량 강했다. 둔클레오스테우스 두개골 모형은 국내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측정돼요. 하지만 모양이 불규칙한 소행성에서는
물체
가 소행성의 어디에 있냐에 따라
물체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달라지죠. 나사 제트추진연구소의 벤자민 호크먼 연구원은 소행성 표면을 튀어 다니면서 중력을 측정하는 탐사선 ‘그래비티 포퍼’를 구상했어요. 그래비티 포퍼는 일정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