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가능성도 커집니다. 우리가 사는 행성, 지구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지구의 표면적 70%는
바다
이고, 건조한 사막보다는 습한 열대우림에 더 많은 생물자원이 분포하죠. 또 육지와 해양의 접촉면이 넓을수록 생물자원 및 생물 다양성이 높은 해양 지역인 ‘천해역’이 증가합니다. 육지와 해양 분포는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음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큰고래는
바다
에서 가장 시끄러운 노랫소리를 내는 동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2012~2013년 북동태평양에 설치된 해저면 지진계로 큰고래의 음파를 6차례에 걸쳐 녹음했다. 큰고래 음파는 고래가 16~38km를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때 아주 좋은 땔감이 되기도 하고 반을 자르면 좋은 밥그릇이 되기도 하거든요. 물론
바다
에서 직접 물고기를 잡아 꼬치구이를 만들어 먹기도 해요. 우리나라 무인도에선 바지락이나 낙지를 잡아먹어요. 새벽녘에 갯벌로 나가보면, 밀물 때 갯벌까지 들어왔다가 썰물 때 미처 나가지 못하고 ... ...
[특집] 미션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홈페이지에 기사 쓰고 탐험 기자가 돼야지.” 남도움이 신나게 외쳤어요! 마침 그때
바다
멀리서 헬리콥터의 모터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했어요. 두두- 헬리콥터가 힘찬 소리를 내며 삼총사에게로 다가왔습니다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녹는 속도가 매우 빠른 그린란드와 스발바르 제도 주변의
바다
에만 뿌려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설명했어요. 또, 연구팀은 고운 설탕처럼 생긴 지름 65㎛(100만분의 1m)의 유리 가루는 입자가 크기 때문에, 눈에 뿌려 생물이 흡입해도 폐 등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편광 측정’ ‘적외선, 가시광선, 초분광 카메라 작동’ 등의 연구가 수행됐다. 지금까지
바다
에서 실시된 가장 큰 규모의 원격 탐사 실험이었다. 이번 연구로 우주에서 해빙을 관찰하는 것이 단순히 사진을 찍는 것과 같이 쉽지 않다는 것 역시 알 수 있었다.우리의 또 다른 목표는 밤이나 구름에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학창시절을 보냈다. 부산수산대(현재의 부경대) 양식학과에 진학한 이유도 물고기와
바다
가 좋다는 단순한 이유에서였다.그런데 막상 진학해보니 학과 공부가 너무 재미가 없었다. 공부 대신 미식축구 동아리 생활에 몰두했다. 처음에는 취미생활이었지만 나중에는 미식축구협회에서 선발하는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비, 추워서 녹지 않으면 눈이 된답니다. 땅으로 떨어진 비나 눈은 강이나 지하수에 모여
바다
로 흘러가요. 일부는 수증기가 돼 다시 구름이 되지요. 이렇게 물은 계속 지구에서 돌고 돈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전국이 꽁꽁 얼었어요! 지난 1월 6일 서울에는 3년 만에 한파 경보가 내려졌어요.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때문입니다. 반면 대기의 영향은 지구의 밝기를 불규칙적으로 변화시킵니다. 대륙과
바다
위로 펼쳐진 구름은 시간에 따라 항상 변하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구름의 반사도가 파장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구름의 영향을 추출할 수도 있습니다. 금성의 대기로 알 수 있는 특성은? 다른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탐험하며 지도로 만드는 ‘21세기의 김정호’였다. 다만 탐험하고 있는 대상이 광활한
바다
나 먼 우주가 아니다. 그는 세포가 만드는 다양한 단백질을 밝히고 그 특성을 상세히 기록한 ‘단백체(Proteome) 지도’를 만들고 있었다. 한국인을 위한 단백체 지도2003년 인류는 거대한 과학적 성과를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