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물"(으)로 총 1,922건 검색되었습니다.
-
-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류를 분석하고 긴 플라스틱 막대 하나를 썼더니 쓰레기가 스스로 모이네! 그런데 이 방법으로는 육지에서 가까운 연안이나 해안가의 쓰레기를 모으기는 어려울 거 같아. 뭐 좋은 방법이 없을까?블랙홀처럼 쓰레기를 쭉쭉!쓰레기를 청소하는 또 다른 방법이 유명 동영상 사이트에서 화제가 됐어요 ...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시원하게 빙하로 뒤덮인 겉모습과 달리 북극해는 요즘 ‘핫’하다. 8개 연안국의 영유권 전쟁 때문이다. 남극조약에 따라 누구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남극해와 달리, 북극해의 70%는 주인이 있다. 문제는 8개국이 각기 자국의 영역이라고 주장하는 바다가 겹친다는 점이다. 7월 11일부터 8월 27 ... ...
-
- Intro. 극지의 심장은 뜨거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얼 음 둥둥 띄운 냉면 국물을 쭉 들이키듯, 거인이 나타나 남극과 북극의 얼음물을 몽땅 들이마신다면 극지는 어떤 모습일까’. 시작은 작은 상상이었다. 그런데 예상치 못했던 거대한 바닥이 드러났다. 북쪽에는 2000m가 넘는 거대한 산맥이 알프스처럼 펼쳐져 있는가 하면, 남쪽에선 활화산처럼 ...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남극대륙은 지금도 진화 중남극대륙이 오늘날의 위치에 놓이게 된 건 해저지형들의 ‘밀당’ 때문이었다.중앙해령은 해양지각을 만들어내 대륙과 대륙 사이에 바다를 넓혔고, 해구에서는 해양지각판을 지구 안쪽으로 끌어당겼다. 남극대륙의 위치는 지금도 조금씩 변하고 있다. 해령은 확장하면 ...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파충류는 지난 3억1000만 년 동안 온갖 다양한 모습으로 지구 곳곳에서 살았다. 하지만 이 긴 역사가 우리의 부주의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 서식지 파괴와 밀렵 때문에 수많은 파충류들이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정부와 단체의 보호를 받으며 살아가는 종류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삶의 터전을 ...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령극지의 바닥이 시작된 배꼽해령은 해양지각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거대한 해저 구조물로, 모든 지각변동의 기준이 된다. 북극해와 남극대륙은 극명하게 다른 두 중앙해령에 의해 만들어졌다. 해양지각의 색깔은 지각의 연령을 나타내는 것으로, 붉은색에 가까울수록 최근에 생긴 젊은 지각이다 ...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후우, 하~. 후우, 하~.”여기는 바다, 나는 바다거북. 숨 쉬기가 너무 힘들어. 물고기와 게, 산호초는 물론 새 친구들도 더 이상 바다에서 생활하기 어렵다고 아우성이지. 그동안 바다가 오염되고 있다는 뉴스를 보긴 했지만 이렇게 심각한 상황은 처음이야. 할아버지가 내 나이였던 과거에는 바다 ... ...
-
- [과학뉴스] 바닷물이 저절로 맹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바다에서는 아무리 목이 말라도 바닷물을 그대로 마시면 안 돼요. 반드시 정수기를 이용해 바닷물을 맹물로 정수한 뒤 마셔야 하지요. 하지만 전기를 쓸 수 없는 바다 한가운데에선 정수가 불가능해요.그런데 최근 서울대학교 김성재 교수팀이 전기 없이 바닷물을 맹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힘바족과 세픽람족이 말한 대로 하늘은 ‘투명한 도화지’다. 해가 뜰 때는 옅은 주황빛, 해가 다 떴을 때는 노란빛, 해가 질 때는 붉은빛을 띤다. 장대비가 내릴 때는 회색이나 검은색, 구름 한 점 없는 가을하늘은 새파랗다. 날씨와 시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하늘 색깔은 보 ...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화성보다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극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래도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국경을 넘어선 과학자들 간의 협력 덕분이었다. 지난 5월 10~11일에는 ‘제22차 국제극지과학 심포지엄’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에는 미국과 캐나다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