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연
나락
d라이브러리
"
심해
"(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바다 깊은 곳까지 들어가 해수 표면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다. 해수 표면의 온도와
심해
의 온도의 차이가 감소하면 해수가 순환하는 패턴도 달라진다. 내니데시칸 박사는 “북태평양 아열대환류의 흐름이 변하면서 대기 중 공기의 흐름도 달라졌다”며 “태풍이 생길 만큼의 에너지가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시 나온 탄소량이 빠져 있다.채소도 먹자!고기를 너무 많이 소비하면 지구의 식량 문제가
심해
져요.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1㎏ 생산하기 위해서는 옥수수를 각각 7㎏ 과 11㎏씩 사료로 먹여야 하거든요. 현재 전세계 곡식의 약 3분의 1은 사람이 아닌 가축이 먹고 있어요. 또 사료가 되는 곡식을 생산할 ... ...
누구도 믿을 수 없는 불신의 벽, 편집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합리화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어긋나는 증거는 결코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증상이
심해
질수록 자신의 생각에만 집착하고 오로지 그것만을 세상의 전부로 삼는다.편집증은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환자라면 그가 집착하고 있는 생각의 시시비비(是是非非)를 가리기 전에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밤낮의 온도차가 대략 15˚C일 때 줄기와 가지의 물관과 체관 세포의 수축과 팽창이
심해
진다. 이러한 수축과 팽창의 압력차를 이용해 수액을 채취할 수 있다. 물 분자 사이의 응집력은 물 분자끼리 잡아당기는 힘이며, 부착력은 물 분자와 다른 분자 간에 작용하는 힘이다. 이 힘은 물 분자가 중력을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풀렸어. 물은 없지만 진짜 바다 속을 옮겨놓은 것 같았거든. 깊은 바다에 사는 생물과
심해
퇴적물, 쇄빙선 아라온 호와 바다 속 미생물까지! 이제 바다 속을 탐험해 볼까?승빈 : 바다를 연구하는 박사님들이 바다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를 적어놓은 곳이야.예빈: 요즘 박사님들은 파래에서 바이오 ... ...
바다 밑 생명체 대왕 오징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7.7m의 대왕 오징어가 파도에 떠밀려 와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수심 300~600m의
심해
에 살던 대왕 오징어가 먹이를 따라 얕은 바다까지 올라왔다가 힘이 빠져 파도에 떠밀려왔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거대 괴물의 실체가 우리 가까이에 존재하는 걸 보면, 인간의 상상력만큼 자연의 다양성도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독수리가 촬영한 영상은 흔들림이 거의 없는 반면, 로봇새가 촬영한 영상은 흔들림이
심해
사물을 구분하기 어려웠다.이는 하강할 때 드는 날갯짓의 힘과 상승할 때 드는 날갯짓의 힘 간에 발생하는 차이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고민하던 한 교수는 한 논문에서 고속카메라로 찍은 앵무새 영상을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 순간 독수리는 거북을 땅으로 내동댕이치고, 거북은 바위에 부딪혀 박살이 난다.
심해
의 사냥꾼 아귀는 문어를 ‘오늘의 식사 메뉴’로 정했다. 하지만 문어에게 다가가는 순간, 아귀는 자기의 천적 바다뱀을 문어로 착각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줄행랑을 친다. 몸 색깔을 바꾼 문어가 두 다리만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 좋은 기운이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간의 기운이 왕성해진다. 하지만 이 작용이 너무
심해
지면 간의 기운이 위로 치솟아 오행의 발생순서상 화(火)를 생성한다. 즉 애가 왕성해지다 못해 타들어 가는 셈이다.실제로 걱정을 많이 하면 간의 기운이 너무 왕성해져 열이 발생하는 간화상염(肝火上炎 ... ...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다세포 생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혐기성 단세포 생물처럼 산소가 없이도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며 “산소가 부족한
심해
환경에 적응하면서 신체 구조가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학술지 ‘BMC바이올로지’ 4월 6일자에 소개됐다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