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d라이브러리
"
위로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보면 언젠간 이룰 수 있을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하늘
위로
과학 기지가 둥둥~! 기구의 변신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 ...
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이용했어요. 나무 상자에 줄을 연결하고, 도르래를 이용해 사람이 줄을 잡아당겨
위로
올리는 방식이었죠. 들어올릴 때보다 잡아당길 때 더 적은 힘이 들거든요. 하지만 줄이 끊어지면 엘리베이터가 추락하기 때문에 한편으론 매우 위험했지요. 그러던 중 1854년 미국 뉴욕에서 새로운 엘리베이터가 ... ...
[과학뉴스] 요다 닮은 박쥐, 새로운 종으로 인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영화 ‘스타워즈’의 ‘요다’를 닮은 박쥐를 발견했어요. 이 박쥐는 요다처럼 귀가
위로
삐죽 서 있고 입이 약간 튀어나왔으며, 눈도 옆으로 길게 찢어진 생김새를 하고 있어요. 둘둘 만 종이를 양쪽에 꽂아 놓은 것과 같은 독특한 코도 특징이지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 박쥐가 기존에 있던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한가운데에서 폭풍우를 만나면서부터였지요. 이때 배에 실려 있던 컨테이너가 바다
위로
떨어지면서 2만 8800개의 러버덕이 태평양 한가운데에 쏟아지고 만 거예요. 그때부터 러버덕은 해류를 타고 전세계 바다를 떠돌아다니기 시작했답니다. ◀ 해안가에서 발견한 러버덕을 들고 있는 커티스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개발한 드론 ‘내비에이터’에 프로펠러 8개를 설치했어요. 프로펠러는 총 4곳에 아래
위로
짝을 이루며 돌아가지요. 그러면 아래층 또는 윗층 프로펠러가 수면에 닿을 때 생기는 밀도 차이를 다른 층 프로펠러가 극복해낼 수 있거든요.내비에이터가 공기에서 물로 들어가는 중이라고 생각해 봐요.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의 날개 문양을 닮은 까치수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뻗으며 번식을 하기 때문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든요. 게다가 작은 꽃들이 아래에서 부터
위로
차례차례 피기 때문에 여름 내내 꽃을 볼 수 있답니다. 하지만 산에서 까치수염처럼 생긴 꽃을 본다면 큰까치수염일 확률이 높아요. 큰까치수염은 까치수염과 다른 종이지만 꽃 모양이 똑같으며, 조금 더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내리쳐서 아래쪽으로 힘을 줘요. 그럼 날개 주위에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지며 몸이
위로
밀려 올라가지요. 즉, 날개를 파닥거릴 때 몸을 공중으로 띄우는 힘인 ‘양력’이 만들지는 거예요.그런데 모기는 날개를 파닥거림과 동시에 회전시켜요. 보통 다른 곤충처럼 날개를 파닥이기만 하면 몸통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색인 규조류가 늘어나면 적조라고 부른답니다.이렇게 늘어난 식물성 플랑크톤이 죽으면
위로
떠올라서 수면을 가득 채워요. 이 사체에 막혀서 공기 중의 산소가 물속으로 녹아 들어가지 못해요. 게다가 사체가 썩는 과정에서 산소를 계속 소비하게 되지요. 그래서 물속의 산소량이 점점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것이다. 기존 스마트폰에 있는 보안 기능인 비밀자가 일일이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위로
그림을 그리거나 센서에 손가락을 갖다 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아이폰 X은 카메라에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스마트폰이 알아서 사용자를 인식한다. 훨씬 빠르고 간편해졌다. 얼굴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퍼져 나갔다. 다른 한 조각은 바로 옆 건물의 생화학 연구실을 거치며 분자 단
위로
쪼개졌고, 또 어떤 조각은 아주 정밀한 DNA 분석 작업을 위해 다른 대학에 맡겨졌다. 이윽고 내 메일함에는 질문 대신 답이 쌓이기 시작했다. 잘 알지 못하는 분야의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과학자들이 보내온 연구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