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때문이다. 법곤충학의 경우 곤충의 종과 성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을 배양하고
유전자
검사를 진행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곤충이 접근하기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 사망하거나 부패가 너무 많이 진행돼 애벌레가 없어 법곤충학을 적용하기 어려운 시체도 부패지수와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유전자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양이었습니다. 국가별로
유전자
변이가 다른 만큼 결국 개인 유전체를 해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였습니다. 필자가 속한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는 2014년 한국인의 유전체를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해독해 세계 최초로 한국인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많았어요. 개는 보통 1100개 정도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
를 지니거든요. 이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
를 400여 개 가진 사람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랍니다. ● 인터뷰 - 조앤 레프슨(남아프리카공화국 농장 보호구역 책임자) “동물에게도 제각각 성격과 재능이 있답니다!” Q 픽카소가 그림에 소질이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유전자
편집 아기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일”이라고 말했어요. 또, 중국 과학기술부 쉬난핑부부장은 “중국은 2003년 생식 목적의
유전자
편집 사용을 불법으로 규정했다”며 “규정을 위반했으므로 관련 법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말했답니다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하는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라고 말했어요. ● 후보 5 이다솔 기자 - 일상부터
유전자
까지 인간 탓에 변하는 동물들 어과동의 프로야근러 이다솔 기자입니다. 한 치 앞을 못 보고 매일 아침을 어영부영 보내다 임무를 다 마치지 못해 밤까지 일을 하곤 하지요. 그런데 우리 주변에 사는 여러 ... ...
[시사과학 뉴스] 햄에서 나온 세균, 왜 문제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하지만 이 시험만으로는 어떤 세균이 있는지 알 수 없어요. 그래서 식약처는
유전자
를 분석해 검출된 세균이 일반 대장균이라는 것을 밝혀냈답니다. 그런데 116℃에서 40분 이상 멸균 처리를 하는 제조과정에서는 일반 대장균이 살아남을 수 없어요. 이 때문에 유통 과정이나 검사 과정에서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유전자
가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지요. 바버라 맥클린톡이 발표한 ‘움직이는
유전자
’는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나중에는 유전학의 중요한 발견으로 인정받았어요. 이 공로로 바버라 매클린톡은 198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답니다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면역의 조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함께 생활한 지역과 시기가 다양하기 때문이지.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유전자
로 바이러스의 역사를 유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혀냈어. 앞으로는 사라진 고대 질병까지 찾아낼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지. 우리 몸에 바이러스의 기록이 남아 있다는 게 신기하지 않니 ... ...
남극부터 우주까지, 여성 과학자가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안녕, 나는 어과동 열혈독자 서연이야! 과학자가 되고 싶어서 공부도 열심히 하고, 어과동도 열심히 읽고 있지. 그런데 얼마 전에 ‘여자는 과학자가 어울리지 않아!’라는 이야기를 들었어. 속상해서 위인전을 찾아봤더니 정말 여성 과학자는 별로 없더라고. 왜 그런 걸까? 혹시 어과동 친구들은 여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이중 만약 항체와 결합하는 박테리오파지가 있다면, 그 박테리오파지에 끼운 미지의
유전자
가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 냈다는 걸 알 수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박테리오파지 기술이 더욱 빛을 발한 건 그레고리 윈터 연구원이 다르게 활용하면서 부터였지요. 윈터 연구원은 특정 단백질에만 결합하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