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년, 2013년, 2015년에 걸쳐 발표됐고, 이 데이터를 해석한 연구 논문들이 급증하면서 2016년 천체물리학 분야의 가장 ‘핫’한 연구로 떠올랐다. 리서치 프론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분야의 핵심 논문 42편 중 27편이 플랑크 위성의 2013년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우주의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왔고, 9월 15일 마지막 임무로 토성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했다. 캐나다 토론토대 이론천체물리학연구소 매트 루소, 댄 타마요 박사후연구원은 토성의 고리들과 주요 위성의 공진 주기를 27옥타브 증가시켜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범위의 음계로 변환했다.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작은 조각들과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자체는 지구에 존재하는 것보다 약 5조 배적을 정도로 희박한 양이었다. 그러나 지구 밖 천체에서 산소 분자가 발견된 최초의 사례라 의미가 컸다. NASA 연구팀은 토성의 자기장에 갇혀있는 입자들이 얼음 표면에 화학 반응을 일으켜 산소가 방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는 얼음 표면에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쉽다. 평평한 비닐을 우주 공간의 일부라 생각하고 그 위에 있는 쇠구슬을 블랙홀 같은 천체라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면 블랙홀(쇠구슬) 때문에 부분적으로 휘어있다 해도, 비닐 전체는 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주 공간도 마찬가지다. 사실 우주는 너무 넓다. 관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우주의 ... ...
- [핫이슈] 섭섭박사가 추천하는 어린이날 선물대잔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안녕! 난 16차원에서 날아온 섭섭박사야. 어과동의 실험 선생님과 솔이의 과학 선생님을 겸하고 있지. 요샌 메이커 교육까지 하는 바람에 엄청 바빠, 하하! 하지만 아무리 바빠도 모두가 좋아하는 어린이날을 그냥 넘어갈 순 없지~.그래서 오늘은 친구들에게 딱! 맞는 선물을 들고 ... ...
-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빼꼼. 저 멀리 담 너머에 보이는 우주를 몰래 바라봅니다.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에 눈이 초롱초롱해집니다. 호기심이 생긴 한 아이는 갑자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재잘재잘. 옆에 있던 아이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주고받아보지만 답이 쉽게 나오지 않네요. 누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파앗~!’ 머리가 삐쭉삐쭉 솟아있는 어느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손바닥에 기를 모아 에너지 형태의 공을 만들어 적을 공격한다. 적은 손바닥에 전기를 흘려 귀를 찌를 정도로 높은 소리가 나는 전기 덩어리를 만들어 대응한다.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처럼 불가능한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눈으로 볼 수 없다면 수학적으로 우주의 모양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수학은 위상수학이다. 위상수학은 물체의 모양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 쉽게 말해, 구멍의 개수에 따라 물체를 분류한다. 구멍의 개수가 같으면 같은 물체로 본다. 예를 들어, 구 ... ...
- [과학뉴스] 은하 회전 속도 차이 나는 이유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타원 은하는 나선 은하에 비해 약 5배 느리게 회전한다. 지금까지 그 이유를 몰랐는데, 최근 은하 종류에 따라 은하의 초기 형성 과정이 ... 중심부의 메커니즘으로 인해 각운동량이 낮은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7월 11일자에 발표됐다.doi:10.3847/1538-4357/aa789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뎀베는 그들이 뭘 빼내 가려고 했는지를 살폈다. 로그를 보니 시투아의 연구기록과 천체물리학과의 사라스트로 교수의 연구 결과를 건드리다가 중간에 끊겼다고 나와 있었다. 그리고 아누슈 교수의 연구자료는 통째로 삭제되어 있었다. 대체 누가 이론물리학 연구자료를 삭제한단 말인가?뎀베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