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겁니다. 그저 옛날부터 쌓여 온 경험이나 지혜라고 얼버무리는 게 고작입니다.사주는 표준시에 맞추나?아주 오랜 옛날에 수많은 인간의 삶을 통계로 만들어서 사주와 뚜렷한 관계가 있는지 연구할 수 있었을까요? 한 사주당 100명의 운명을 조사한다고 해도 수백, 수천만 명의 데이터가 있어야 ...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턱이 뾰족한 사람이 많아졌다‘사이즈 코리아 2007’에서 발표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얼굴형은 과거에는 둥글넓적했지만 지금은 턱이 갸름한 사람이 많다. 남성은 역삼각형, 여성은 계란형이 많다고 한다. 연구팀은 식습관이 서구화 되면서 생활상이 변했기 ...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유추해냈다.양자얽힘은 통신용으로 쓸 수도 있고, 순간이동용으로 쓸 수도 있다. 그리고 표준양자이론을 활용하면 우주의 확률함수를 원하는 대로 붕괴시킬 수도 있다. 물론 기술이 있다고 해서 주리 같은 꼬맹이도 마음대로 우주를 변화시킬 수 있는 건 아니다. 지금의 주리는 항성계 안에서 ...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Baryon Acoustic Oscillation)이라는 방법을 써서 은하 사이에 숨어 있는 표준자를 찾는 것이다. 표준자는 이미 길이를 알고 있는 대상으로 관측점에서 양쪽 끝을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면 그곳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우주의 구조가 열쇠그러나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아직 ...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플랑크와 같은 실험을 통해서 미리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단순히 지구에서 보이는 이 표준자의 길이만 알면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게 된다.또 하나는 우주배경복사를 이용해 은하단의 밀도를 관측하는 방법이다. 우주배경복사의 광자가 중간에 은하단의 뜨거운 가스를 만나면 에너지가 ...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많지만 전혀 관측이 되지 않는 ‘암흑물질’의 후보 물질도 확 늘어난다. 초대칭이론은 표준모형의 입자와 중력자가 모두 대칭적인 짝 입자를 갖고 있다고 보는데, 이 가상입자들은 대부분 관측이 어렵다. 이런 성질이 암흑물질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 중에 암흑물질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CERN 역시 ... ...
-
- 너를 위한 이야기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사람들은 아마 그 배가 떠났던 시절에 한철 유행한 독심술사였던 모양이야. 당시에는 표준 통역기 같은 것도 없었을 테니, 마음을 읽는 사람을 태우면 정착민과 대화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던 모양이지. 이상한 일도 아닐세. 정말로 선교사를 태웠던 적도 있으니까.그 선장에게 그 ... ...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캐논 5D Mark3를 사용했는데 렌즈는 16-35mm(광각렌즈), 24-70mm(표준렌즈), 접사촬영용 100mm MACRO와 70-200mm 망원렌즈를 기본으로 준비했다. 이 밖에 메이킹 및 핸드헬드 촬영을 위해 역시 소니의 핸디캠 CS700을 사용했다.박성웅현재 한국교육방송공사(EBS)평생교육본부 교육다큐부PD. .. ...
-
- [생활] 명탐정 셜록 홈즈의 추리 비결은? 통계적 추정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제품의 점수가 μ에서 1σ 사이 값일 확률은 34.1%인 거예요. 여기서 μ는 평균이고, σ는 표준편차를 뜻해요.그렇다면 불량률은 어떻게 낮출까요? 기업에서는 6시그마 방법을 이용하고 있어요. 6시그마란 불량품이 나올 확률이 정규분포에서 ±6σ 밖의 면적일 때(100만 개당 3.4개의 불량품)를 추구한다는 ...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어느 뇌 하나가 ‘표준 뇌’가 될 수는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굳이 실제 뇌를 이용해 표준 뇌지도를 만들 필요가 있을까. 신경세포의 연결 방식을 충실히 따라 만든 가상뇌로 그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가상뇌를 만드는 과정에서 뇌의 메커니즘을 더욱 정교하게 이해할 수도 있다. 마크람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