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계"(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하하. 2000년 초까지 화성 생명체 ‘붐’이 수그러들 줄을 몰랐죠. 아, 그건 그렇고 운석 학계의 ‘핫이슈’는 따로 있습니다. NASA의 제네시스호와 스타더스트호, 그리고 일본의 우주탐사선 하야부사 등이 지구로 갖고 온 시료를 분석한 결과가 최근 2~3년 사이에 발표됐거든요. 운석을 통해 추정만 해 ...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소위 양자의학이라는 것은 의학계에서도 물리학계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사이비이론일 뿐입니다. 안타깝게도 오늘날 양자 혹은 퀀텀이라는 단어는 있어 보이기 위해서 흔히 가져다 쓰는 마케팅 용어가 됐습니다. 저희 동네에 있는 ‘양자 치료기’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1994년, 아버지가 운영하는 기계장비 회사를 돕겠다는 말을 남기고 돌연 학계를 떠난다. 과학계의 따분한 구조에 질렸고, 새로운 일을 하고 싶은 강한 욕망 때문이었다.7년간 회사에서 일하며 그가 깨달은 점은, 자신이 형편없는 세일즈맨이라는 것과 여전히 과학을 너무 사랑한다는 사실이었다.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미심쩍었는지 이것저것 더 실험해 보라고 시키더군요. 그 실험을 다 하면 2년은 걸릴 것 같아 ‘너희에게 안 낸다’고 대답했죠.” 그 학술지는 논문을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어떨까? 경주의 옛 이름이 ‘계림(鷄林)’일 만큼 닭과 우리 민족이 함께한 역사는 깊다. 학계에서는 대체로 삼국시대 초기에 원산지인 동남아시아 혹은 중국을 통해 닭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조선시대 농서 ‘금양잡록’과 ‘농가집성’에 따르면 종류만 300여 종이 있었을 정도로 재래닭은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뇌세포의 미세소관을 양자 중첩이 일어나는 곳으로 지목했다. 여기에 대한 주류학계의 반응은 냉랭하다. 양자 중첩이 인간의 의식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어떤 실험적 증거도 아직 없기 때문이다. 생명체 내에서 결맞음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더구나 양자 중력까지 등장하는 그의 이론은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SCK·CEN 소속 한국인 과학자가 두 명 참여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국제공조는 전무하다. 학계에서는 황일순 교수가 미라 프로젝트와 비슷한 방식의 차세대원전(납냉각고속로)과 핵변환 기istockphoto술(파이로그린)을 연구하고 있는 게거의 전부다. 성균관대의 홍승우, 채종서 교수 등은 원료로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서로 비슷한 점이 많다. 어떤 종류는 너무 비슷해서 친척관계로 오인될 정도다. 현재 학계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동물은 거북이다. 거북이 과연 어떤 파충류 집단에서 나왔는지에 대해서 학자들은 수십 년째 골치 아픈 연구를 하고 있다. 한때는 거북과 유사한 등딱지를 가진 플라코돈트류를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기념관을 지었다. 일본 과학평의회도 이론물리학 연구 장려 기금을 요청했고, 물리학계는 이 돈으로 일본 기초물리학 연구소를 만들었다. 이 연구소는 1990년 히로시마대 이론물리연구소와 합병해 유카와 이론물리학연구소가 됐다. 2008년 물리학상을 받은 마스카와 교수가 바로 이 연구소의 소장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0년 전 일이다. 그는 이제 국제미생물분류학회지(IJSEM) 편집위원이다. 그만큼 조 교수가 학계에서 중책을 맡고 있다는 의미다. 박테리아는 현재 1만3537종이 확인됐고, 매년 600여 종씩 새로 등록되고 있다. 박테리아 계에서는 신종헌터의 역할이 조금 다르다. 새로운 종을 발견하는 것보다 '배양'하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