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 노트] 창백한 푸른 눈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포착돼 있습니다. 대기의 흰 구름 빛을 머금은 연한 파란색 점이었죠. 촬영을 주도한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사진의 화소(픽셀) 하나 크기도 안 되는 작은 지구를 ‘창백한 푸른 점’이라고 불렀습니다. 1969년 미국 록밴드 벨벳언더그라운드가 발표한 곡 ‘창백한 푸른 눈’을 연상시키는 이름이죠 ... ...
[서펑] 유전자 편집 기술의 중심에 선 과
학자
'제니퍼 다우드나'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여자도 과
학자
가 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어쩌면 그는 이 책에 등장한 어느 과
학자
를 보고 누군가 과학의 세계에 발을 들이길 바라고 있을지 모르겠다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Part4. [특집] 과
학자
가 말한다! 시민과학Part5. [특집] 시민과
학자
들이 말한다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가지고 지금 당장 관심 있는 분야에 뛰어들었으면 좋겠어요. 그렇다면 훌륭한 시민과
학자
가 될 수 있을 거예요.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계속 가지고 다양한 시민과학 활동을 즐기면서 참여하면 좋겠어요. 많이 참여하고 질문해 보세요. 사실 질문하는 것은 상당한 역량이 필요해요. 자신의 언어로 ... ...
[특집] 3월 14일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수학의 날!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즐길 수 있다고 추천했어요. Q. π-데이는 누가 만들었나요? 1988년 3월 14일 미국 물리
학자
래리 쇼가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에서 원주율(π)을 기념하는 행사를 처음으로 열었어요. 과학관 직원들과 추억을 남기기 위한 이벤트였지요. 3월 14일 1시 59분에 다 같이 3분 14초 동안묵념을 하고 과일 파이를 ... ...
[과학동아 x 쿤달] 제조기│우주에 없던 향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1호가 지구로부터 약 60억 km 떨어진 명왕성 궤도에서 1990년 촬영한 지구 사진에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이 붙인 이름이다. 이 사진에 담긴 지구는 희미한 푸른 빛을 띠고 있었다. 세이건은 지구에 흰 구름이 있어 진한 푸른색이 아닌 창백한 푸른색이라고 했다. 이후 창백한 푸른 점은 우주 속 지구를 ... ...
[기획] 다리가 무려 1306개? 가장 다리 많은 다지류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신종 노래기를 찾았나요? 저는 환경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생물
학자
로, 원래는 주로 거미를 연구합니다. 저희 팀은 광산 회사의 의뢰로 본격적으로 채굴 작업을 하기 전 땅속에 어떤 생물이 조사하는지 살펴보는 일을 맡았어요. 그 와중에 신종 노래기를 발견했지요. Q에우밀리페스 노래기에 ... ...
[이달의 과학사] 1946년 2월 14일 컴퓨터의 선구자, ‘에니악’ 공개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1943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싸우던 미국 육군의 요청으로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물리
학자
존 모클리와 프레스퍼 에커트가 설계하여 만들었습니다. 발사한 포탄의 명중률을 높이려면 포탄의 궤도는 물론,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수치를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했지요.에니악은 3년 동안의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삶을 즐기는 중입니다. 삶이 풍성해졌다고요?지사탐을 10년간 하면서 많은 시민과
학자
를 알게 됐고 사진전 개최, 대만 탐사, 책 출판 등 많은 일을 함께 했어요. 실험실에서만 연구했다면 절대 경험할 수 없었을 삶의 길을 걸어본 것이죠. 저희 연구실의 연구원 중 한 명은 예전부터 지사탐 대원으로 ... ...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➊] 눈에 안 보이는 것을 수식으로 푸는 수
학자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수
학자
포여 죄르지와 가보르 세괴가 제안한 문제이고, 에슐비 추측은 1961년 영국의 수
학자
존 에슐비가 낸 문제예요. 두 문제는 약 60년간 해결되지 못하고 있었어요. 저는 그램 밀턴 미국 유타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함께 두 추측이 결국 같은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했고, 한 문제를 풀었는데 두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