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모양이 자유자재로 바뀌어 ‘벌레 거품(worm blob)’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조지아공대
화학
및 생체분자공학부와 물리학부 연구팀이 실험과 모델링을 통해 검은벌레가 얽히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수조에 캘리포니아 검은벌레 20마리를 길게 늘어뜨려 놓고 수조 왼쪽 아래에는 난방장치를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자외선을 방출합니다. 말하자면 새집증후군인 셈이죠. 이런 방출선들은 탄소 기반 생
화학
반응(DNA 합성 등)에 필요한 분자의 변질과 분해를 유발할 수 있어 생명체의 탄생 및 진화가 어렵습니다(우주적으로 봤을 때 지구는 굉장히 특별한 케이스입니다).M형 주계열성의 경우 별이 어둡고 차가워서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생산이 일차 목표이기 때문에 개발을 우선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서울여자대학교
화학
생명환경과학부 이창석 교수는 “생태계를 복원해야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생태계를 정확히 진단해 훼손되기 전의 모습을 재현한 뒤, 생물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고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효소 디옥시리보자임으로 만들어졌으며 탐지와 치료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세포 안에서
화학
적으로 변형된 RNA를 감지하고 특정 조건에서 RNA 결합을 끊는다. doi: 10.1002/chem.201905528나노봇은 점성이 있는 유체 환경인 생체 내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점성은 나노봇의 관성을 무력화시키며 브라운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추가로 동물실험을 진행하더라도 역시나 불확실성의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며 “
화학
물질과 관련된 법적 쟁송에서 기업과 재판부는 항상 더 많은 자료와 연구로 증명할 것을 요구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쟁점3. 증거에 접근하는 방식이 다르다?법원 │ 재판에서 증언한 전문가 중 어느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수상돌기가
화학
신호를 받으면 축삭돌기로 전기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것이 다시
화학
신호 형태로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른 뉴런으로 전달되면서 몸에 반응이 일어납니다. 인공 뉴런도 여러 개의 입력 신호 xi를 받아 하나의 신호 y를 출력합니다. 또 뉴런은 일정 크기 이상의 자극이 주어져야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관련 최신 연구 분야에 활용가치가 높다고 분석했다.이 연구에 참여한 김은숙 브라운대
화학
과 교수는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형태의 저장장치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며 “당장은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만큼의 효율을 내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 ...
[하야부사 2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1998 KY26 소행성으로 향할 계획입니다. 스윙바이 중에도 2001 CC21 소행성의 물리적,
화학
적 성질을 조사하고요. 요시카와 마코토(JAXA 우주과학연구소 우주선 공학부 조교수) Q하야부사 2호 프로젝트에서 특별히 기억나는 게 있으신가요? 저는 하야부사 2호 프로젝트의 미션 매니저라는 역할을 ... ...
[과학뉴스] 레이저 기술 혁신 불러올 ‘빛의 눈사태’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어려워 상용화되지 못했다. 제임스 슉 미국 컬럼비아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서영덕 한국
화학
연구원 책임연구원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란탄족 희토류인 툴륨(Tm) 이온을 첨가해 순식간에 광사태를 유발할 수 있는 16~33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나노입자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네이처’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상하이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며 “모노셀은 전기
화학
적으로 불가능하다. 최대 전압이 너무 낮다”고 적었다. “거대한 하나의 배터리 셀로 배터리 팩을 만드는 수준의 혁신은 불가능함을 강조한 셈이다. 실제로 현재 액체 전해질 기반 리튬이온전지 기술로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