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합
단체
협회
모임
클럽
학회
집회
d라이브러리
"
회
"(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IBM Q 시스템 원’을 선보였어. 구글과 함께 양자컴퓨터를 공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회
사지. 양자컴퓨터 분야에서 앞서가던 중 구글이 갑자기 시커모어를 발표했으니 당황할 만하겠지 ... ...
실전 상황! 꽉 막힌 도심에서 파티장에 도달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시간과 대기 시간, 환승 시간 등의 데이터를 분석해 태그 기록으로 승객이 지하철을 몇
회
갈아탔는지 추정하는 데 성공했다. 보행자에 맞춰지는 신호들? 일괄적으로 켜고 꺼지는 신호등, 보행자에게 맞출 순 없을까?! CCTV로 횡단보도 건너는 사람의 시간을 분석해서 신호가 바뀌게 하자!횡단보도를 ... ...
201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가장 큰 관심을 보였을까요? 과학동아는 네이버 과학판과 공동으로 일간 조
회
수 2만
회
를 넘긴 콘텐츠 중 베스트 10을 선정했습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호기심에서 시작한다고 했던가요? 대중에게 선택받은 과학 이슈 역시 호기심을 자극하는 흥미로운 내용들이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지구의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효과를 보기 힘듭니다. 상처가 생기고 1~2주 뒤 상처가 아물고 나서부터, 하루에 2~3
회
씩 최소 3개월 이상 꾸준히 발라줘야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빠른 효과를 기대한다면 피부과에서 시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흉터 연고를 바를 때는 흉터 부위를 마사지하듯 바르면 좋습니다. 더불어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말했다. 현재 스마트폰용 리튬이온전지는 1시간 내외로 고속 충전이 가능하고, 1000
회
이상 충·방전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발됐다.리튬이온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이차전지로는 나트륨이온전지와 전해질이 고체인 전고체전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교수는 “차세대 이차전지 후보들이 아직은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주문했다. 대
회
총책임자인 김종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2018년 제1
회
대
회
에서는 선수 5명의 포지션을 자유롭게 세팅할 수 있게 했더니 공격수가 많은 팀이 무조건 유리했다”며 “4명이 공격하고 1명이 수비하는 팀은 5명을 전부 공격수로 내세워 몰려다니며 슛을 시도하는 ‘동네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리고 세포에 대한 이런 이해는 질병 치료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는 노벨위원
회
가 수상자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기준으로 꼽는 ‘최초 발견(discovery)’과 ‘인류에게 최대의 혜택(the greatest benefit to humankind)’을 모두 만족한다.실제로 2001년 이후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연구를 8개 분야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doi:10.1126/science.aal0442 조 선임연구원은 “반도체 제작 설비를 이용할 수 있는 만큼
회
로 구성을 위한 집적도는 초전도체 방식이, 오류 수정은 큐비트의 수명이 긴 이온 덫 방식이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도 양자컴퓨터를 구현할 큐비트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KIST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쳤다. 연구팀은 사하라은개미가 다리를 초속 1.3m로 빠르게 휘저으며 1초에 지면을 약 47
회
디딘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울프 교수는 “발이 부드러운 모래 속으로 깊이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빨리 달리는 것”이라며 “생리적 한계에 가까운 근육 수축 속도를 내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다. 한 수석연구원은 “성별에 관계 없이 꿈을 펼칠 수 있는 사
회
를 만들고 싶다”며 또 한 번 열정을 불태웠다. “구조공학적인 계산 능력과 디자인 설계 역량을 두루 갖춘 인재를 더 많이 길러내라는 격려의 뜻이라 생각합니다.” 이주나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