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액체"(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카루스를 살려서 우주로 ! 유휘상 기자의 항우연 취재기기사 l20140804
- 정확한 궤도에 위성을 올려놓기 위해서는 로켓이 필요합니다.나로호는 한국 최초 로켓입니다. 나로호 연료는 케로신으로 제어가 쉬운 액체연료를 선택했습니다.2020년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발사체 개발 계획하고 있습니다. 단서 셋. 위성시험동에서 위성시험동은 우리 기술로 위성을 만들고 그 위성을 시험해 보는 곳입니다.사진촬영이 안되서 신문기사의 ...
- 7월 30일 항공우주연구원취재 이곳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시험동은 축구장 4개크기로 실제포스팅 l20140804
- 위성의 나침반인 별추적기를 장착하여 별자리 위치를 입력해 정확한 위치대에서 임무를 수행할수 있습니다. 캐로신이라는 위성의 액체연료는 영상120도,영하100도의 기온차가 심해지는우주공간에서 가장 알맞은 연료라고 합니다. 연료를 주입하는 이유는 우주공간밖에서도 지구중력의 영양을받아 끌어당겨지면 다시원래 지점으로 올라가기위해 또 다른위성이나 우주 ...
- 항공우주연구원에 다녀왔습니다.. 조금 늦게 기사를 쓰네요.. 1.홍보영상 시청 2.연구원포스팅 l20140802
- 케로신은 인체에는 유해하지만 기온변화에 잘 적응해 쓴다. 그리고 연료는 액체연료와 고체연료가 있는데, 나로호는 컨트롤하기 쉬운 액체연료를 쓴다. 연소기는 우주선중에 산소를 태워 발사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데, 냉각장치가 가장 중요하다고한다. 왜냐하면 타지않기 위해서이다. 3.위성시험동 구축년도:1996년 총면적:26,092제곱미터(축 ...
- KAIST-1 7층- 뇌질환 연구/ 간질- 발작 뇌의 한쪽이 크거나 파란색의 반점이 있다포스팅 l20140725
- 면역을 연구 오토플레이브 125도까지 올리 수 있다. 멸균기 액체질소탱크 (영하180도 이하에서 언다) 클림 벤치 원심력 이용- 고속 회전- 액체 속에서 무거운 세포를 큐브 밑으로 내려보낸다. 유세포 분석기: 플로사이프미터 8층- 당뇨 연구하는 곳 쥐로 실험한다 ... ...
- 식충식물 '파리지옥', 너 정말 똑똑하구나! '내 이름은 파리지옥'을 읽고기사 l20140709
- 소화액이 나온대요. 소화액은 사람의 위 속에서 나오는 위산처럼 아주 강력해서 곤충을 금방 물처럼 녹여버려요. 그리고 나서 그 액체를 잎에서 쭉 빨아들이는 거예요. 어떤 식물들은 알록달록 예쁜 꽃과 꿀로 벌이나 나비를 유혹해서 꽃가루를 수정하는데, 파리지옥 같은 식물들은 향기로 곤충들을 유혹해서 잡아먹다니 완전 다르네요.파리지옥은 잎을 움직일 수 ...
- 과학실험 활동입니다.액체탑 쌓기입니다. 소금물의 농도로 조절합니다탐사기록 l20140621
- 과학실험 활동입니다.액체탑 쌓기입니다. 소금물의 농도로 조절합니다 ...
- 개구리도 다급하면 달팽이진액 같은 걸 뿜어낸다 하면 할수록 재미있는 청개구리탐사기사 l20140602
- 찐득거리는 액체를 뿜어낸다는 것이다. 나는 그 액체가 달팽이의 진액과 비슷하게 느껴졌다. 그 액체가 나오면 손이 미끄러웠다. 이 액체는 개구리의 방어막일까? 사진을 찍고 관찰을 한 뒤 개구리 세마리만 남기고 다 놓아주었다. 그리고 이 세마리를 데리고 참개구리를 잡았던 세번째 탐사지역인 양재천 다리밑으로 갔다 ...
- [미션수행] 철의 소중함을 알게 해준 보물같은 박물관, 철박물관 내가 가 본 최고의 현장 취재 장소 소개하기기사 l20140525
- 것입니다.이곳에 끓는 쇳물을 부어서 밑에 있는 구멍에 연결된 튜브로 흘려보내도록 합니다.튜브는 몰드튜브라고도 하는데, 액체상태의 쇳물이 들어가면 고체의 쇳덩어리가 나옵니다.철을 만드는 공장에서는 너무 시끄러워서 쇠로 만든 종으로 밥 먹으라고, 휴식 시간이라고 알려주었다고 합니다. 박물관 마당에 있는 것들은 모두 실제로 공장에서 사용하던 것이라고 ...
- 맛있는 과일잼이 되려면... 잼을 만들 때 설탕을 넣는 이유기사 l20140502
- 고체’로 변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흰색의 작은 알갱이였던 많은 설탕이 열에 녹으면서 물처럼 액체가 되었다가 열이 식으면서 다시 딱딱하게 굳어 한 개의 덩어리인 고체가 되었습니다. 3. 잼의 무게는 처음 과일의 무게와 비슷하게 나옵니다. 딸기 27g만 가열했을 때 무게는 5g이었고 설탕 27g만 가열했을 ...
- 태양계 밖에서 사람이 살 만한, 지구같은 크기의 행성 4개가 추가로 발견됐습니다. 美항공포스팅 l20140228
- 수많은 별들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새로운 행성 가운데 4개는 지구의 크기의 2.5분의 1 정도로서 온도가 적절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액체를 형성할 만한 지적(골디락스)에서 공전하고 있었습니다. 새로 발견된 인간이 거주할 만한 행성 가운데 케플러 296f행성은 지구의 2배 크기입니다. 우리 태양계 태양의 절반 크기이며 밝기가 5%인 자신의 태양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