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시스템
혈통
가계
장치
계열
족보
뉴스
"
계통
"(으)로 총 5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비 무늬 결정하는 유전자 어떻게 진화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연구팀은 아시아 지역에 사는 호랑나빗과의 제비나비 5종 총 61개체의 유전자를 분석해
계통
도를 작성했다. 또 의태 능력이 있는 종과 없는 종으로 나눈 뒤, 전체 유전자 중 슈퍼유전자 부위의 차이를 비교했다. 이를 통해 200만년 전 공통 조상에서 호랑나빗과 곤충이 분화됐음을 알아냈고, 이 ... ...
영장류가 야행성 버리고 낮에 다니기 시작한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11.07
발견된 화석자료를 모두 동원해 컴퓨터로 행동 패턴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명확한
계통
분류학적 근거를 처음으로 확보했다”고 말했다. 공룡멸종뒤 포유류가 낮에 움직이기 시작했다. - Tel Aviv University 제공 연구팀은 행동 패턴의 변화 시점를 밝히기 위해 동물이 주로 행동하는 시간을 ... ...
[생태연구 동행르포] 염색체 이형 생명체, '동방종개' 찾아 삼만리
동아사이언스
l
2017.11.02
왕종개, 동방종개 등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종으로 분화됐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
계통
분류학과 생물다양성’에 발표했다. 이중에서도 동방종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최근 생겼다. 대부분의 생물은 염색체 핵량이 부모로 부터 n개씩 물려받아 2n이다. 사람은 23개씩 받아 총 46개의 ... ...
멸종위기 민물고기, 좀수수치는 어떻게 한국에서만 살게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17
DNA의 유전적 친화도를 조사한 결과, 전라도 고흥의 서쪽과 동쪽의 좀수수치에서
계통
학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차이를 발견해 지난 2013년 5월 학술지 ‘보전유전학’에 발표했다(DOI : 10.1007/s10592-013-0462-2). 원 교수는 “한 조상으로부터 좀수수치가 최대 약 279만 년 전에 둘로 갈라졌다는 사실을 ... ...
제주도 바닷가 신종미생물에서 항생제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17.10.09
연구팀은 이 미생물을 ‘마빅키박터 루버(Mabikibacter ruber )’라고 명명하고, 학술지 ‘
계통
진화미생물학’ 8월 2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최근 마빅키박터 루버에 붉은 색소를 지닌 항균 물질인 프로지디오신이 함유돼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7개월간 배양한 뒤 균주를 추출해 ... ...
[연구자 나고야의정서 가이드④] 국내 자생생물로 대체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1
중요하다. 장 센터장은 “발생할 수 있는 국제적 분쟁에 대비해 생물 유전자원의
계통
분류학적인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는 것도 매우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가령 S 박사는 연구에 활용한 식물의 DNA 염기서열이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해 이 식물이 중국 고유식물과는 다른 종임을 ... ...
에이즈 거의 완벽하게 예방하는 백신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1
비롯해 PGDM1400, 10E8v4의 3가지 항체를 결합한 백신을 개발했다. 이 혼합백신은 208개의 HIV
계통
바이러스 중 4개를 제외한 204개의 바이러스와 결합한다. HIV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입했을 때 감염을 98%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이후 미국 백신연구센터(VRC)에서 진행된 원숭이 실험을 통해 혼합 백신의 ... ...
금붕어가 산소 없이 겨울 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7.08.24
밖에서 대사 산물을 에탄올로 전환하는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붕어 속 동물의 유전자
계통
을 분석한 결과, 800만 년 전 일어난 전체 단백질 게놈 복제 때 이 단백질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캐서린 엘리자베스 파거네스 노르웨이 오슬로대 박사는 “붕어는 에탄올을 생산해 ... ...
17일 한국에서도 ‘나고야의정서’ 발효…“연구 현장에도 타격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우리나라의 고유 생물자원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앞으로는 유전체 분석 등
계통
분류학 분야 연구개발(R&D)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은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부연구위원은 “나고야의정서는 상업이 아닌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자원 활용에 대해서도 이익 ... ...
지구상 최초의 꽃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제시한 꽃 진화에 따른
계통
분류도. 양성화(노랑색)에서 단성화(파랑색)가 진화됐음을 알 수 있다.-Paris-Sud University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