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자료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데이타
관련데이터
뉴스
"
관련자료
"(으)로 총 2,93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온도 딱 '1℃' 올라가자 서해는 '야광충' 명소 됐다
과학동아
l
2024.08.03
2024년 기상청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에서 은상을 수상한 김대권 작가의 '푸른빛 물결'. 충남 서천의 야광충을 담았다.기상청 제공 낮에는 백상아리를 피해 수영하고 밤에는 바닷물이 푸른색으로 빛나는 바다. 머나먼 열대지방이 아니라 2024년 지금 한반도 해변에서 만날 수 있는 풍경입니다. ... ...
환경 파괴로 몰락? 새로 밝혀진 '라파 누이' 멸망 이유
과학동아
l
2024.08.03
라파 누이(이스터섬)를 대표하는 석상 모아이.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거대한 석상 '모아이'의 섬, 태평양 폴리네시아의 라파 누이(이스터섬)는 환경 파괴로 인해 인류 문명이 붕괴된 사례로 유명하다. 딜런 데이비스 미국 컬럼비아대 고고학센터 박사후연구원의 국제 공동 연구팀이 기존의 문명 붕괴 ... ...
임신부 뇌, 대뇌피질 줄었다…"뇌 기능 저하 아닌 애착행동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02
출산 준비 중인 여성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임신한 여성의 뇌에는 회복되기 어려운 물리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억과 정보통합 등을 수행하는 대뇌피질 영역이 임신 전보다 5%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는 이러한 뇌의 변화가 실제 뇌 기능을 저하시키 ... ...
[과기원NOW] KAIST, 신개념 제노-프리 줄기세포 배양 플랫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임성갑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왼쪽) 연구팀은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오른쪽)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동물 유래 물질이 배제된 '제노-프리' 줄기세포 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 KAIST는 임성갑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 ... ...
자연은 사실 왼손잡이다? 왼손잡이 아미노산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4.07.27
과학동아 제공 생명체 속 아미노산은 대부분 '왼손잡이'입니다. 화학물질이 왼손잡이라니 무슨 말인가 싶을 겁니다. 같은 화학물질이라도 분자구조가 다른 경우가 있어요. 이럴 때 각각을 '왼손잡이 물질'과 '오른손잡이 물질'로 구분해 부르죠. 그런데 이상하게도 생명활동에 관여하는 화학물질 ... ...
"'적당한 음주가 건강에 좋다'는 연구들, 설계 결함"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여러 연구결과를 근거로 음주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통념이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적당한 음주는 건강에 도움이 되고 심지어 수명을 늘린다는 속설이 있다. 캐나다 연구팀이 이런 속설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살핀 결과 설계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어 신빙성이 떨어진 ... ...
음악을 기억하는 능력은 나이와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음악을 기억하는 능력은 나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음악의 곡조를 기억하고 인식하는 능력은 나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많은 종류의 기억들이 노화에 따른 기억력 저하의 영향을 받지만 음악에 대한 기억은 예외란 것이다. 사라 ... ...
AI가 만든 데이터로 학습한 AI, '붕괴'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인공지능(AI)이 만든 데이터를 다시 AI가 학습하면 모델이 붕괴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기존 데이터의 패턴 등을 파악해 추론 능력을 발휘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만든다. AI가 만든 데이터를 다시 AI 모델이 학습하는 과정이 되풀 ... ...
77% 확률로 치매 예측…알츠하이머치매 바이오마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알츠하이머치매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MARHARYTA MARKO/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기술이 개발됐다. 노화 연구 및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한국뇌연구원은 이동하 인지과학연구그룹 선임연구원과 홍창 ... ...
반려견 실명 유발 불치병, 유전자 검사로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으로 시력을 잃은 잉글리시 셰퍼드. 영국 케임브리지대 제공 개의 실명을 일으키는 유전성 질환인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을 조기에 확인하는 유전자 검사법이 개발됐다. 개가 번식 활동을 하기 전에 이 질환을 보유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번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연구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