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접
접근
접촉
가까움
이웃
근교
근처
뉴스
"
근접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퀸의 기타리스트, 뉴호라이즌스호 주제곡 만들어 헌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스티븐 호킹의 육성도 포함된 이번 주제곡은 뉴호라이즌스호가 울티마 툴레에
근접
비행할 당시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APL)에 울려 퍼지기도 했다. NASA는 2일 뉴호라이즌스호가 촬영한 눈사람 모양의 울티마 툴레 사진을 처음 공개했다. 탐사선은 앞으로 울티마 툴레의 사진 약 900장을 ... ...
소행성 ‘울티마 툴레'는 눈사람 닮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소행성 울티마 툴레.- 사진 제공 NASA 1일 태양계 최외곽 소행성 ‘2014MU69(울티마 툴레)’에
근접
조우하는 데 성공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무인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울티마 툴레의 첫 번째 정밀 촬영 영상을 보내왔다. 2일(현지시각) NASA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울티마 툴레는 두 개의 공 ... ...
NASA 뉴호라이즌스, 태양계 가장 바깥 소행성 접근
2019.01.02
개의 소행성이 서로를 중심으로 도는 전혀 다른 형태일 가능성도 제기된 상태다. 이번에
근접
관찰을 통해 형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과학자들은 약 46억 년 전 태양계 형성 당시의 단서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이퍼벨트는 태양계가 형성될 당시 남은 암석과 얼음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이벤트 마치고 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약 65억㎞, 명왕성에서 약 16억㎞나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NASA측은 울티마 툴레를
근접
비행하는 뉴호라이즌스호의 자료로 확인할 수준의 관측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 약 1~2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NASA는 오는 2일과 3일 오후 두 번에 걸쳐 그 관측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태양계 최외곽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9년만인 2015년 7월 명왕성을 탐사했다. 이번에는 최초로 카이퍼벨트 내 소행성에
근접
해 탐사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인류의 우주탐사 역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찍게 되는 셈이다. 뉴호라이즌스호가 향하는 카이퍼 벨트의 소행성 '2014 MU69'는 '울티마 툴레'로 불린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 말로 ... ...
촉매 성능 20년만에 획기적 개선…더 값싸게 메탄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메탄을 고부가가치의 화학물질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술”이라며 “상용화에 가장
근접
해 지구상 가장 풍부한 자원 중 하나인 메탄의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미래 기술”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촉매작용’에 이달 7일 실렸다 ... ...
미세먼지와 전쟁,폐플라스틱에 맞선 연구…올해 국민을 웃고 울린 10大 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6
성능이 유지되는 새로운 리튬금속이온전지 개발 등 차세대 에너지기술과, 상용화에
근접
한 대면적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도 꼽혔다. 넓은 의미에서 환경 및 에너지 기술이다.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사진 제공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산업에서는 ‘맏형’이지만 학계나 연구계에서는 ... ...
기해년 벽두에도 '혜성의 고향'에선 인류 도전이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위치한 소행성대 ‘카이퍼벨트’에서 (486958)2014MU69라는 이름의 소행성과 약 3500㎞까지
근접
조우할 예정이다. 카이퍼벨트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약 30~50배쯤 되는 위치에 소행성이 몰려 있는 곳으로, 태양빛이 아주 미약하게 닿아 춥고 어둡다. 뉴허라이즌스가 만날 소행성에는 ‘울티마 ... ...
[별별이야기]크리스마스 혜성을 만나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됩니다. 즉 이온 꼬리가 혜성의 뒤에 숨어 있어 제대로 관찰할 수 없지요. 그러니 최
근접
전후 몇 주 동안 이온꼬리는 희미하게만 보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아쉬워하진 마세요. 천체 사진가들은 몇 십초의 노출로 찍은 여러 장의 사진을 컴퓨터로 합성하여 아름다운 혜성의 꼬리를 담아내곤 합니다. ... ...
나노소자 내부 구조 보는 고감도 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이 빛에 의해 미세한 힘이 탐침에 발생한다. 만약 시료 내부에 공극 등 구조가 있으면
근접
장이 영향을 받아 탐침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변한다. 광유도력 현미경(PiFM)의 측정 원리 모식도. -사진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 책임연구원팀은 이 힘의 크기를 측정해, 빛을 이용하는 기존의 공극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