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매개"(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같이 총 4개의 숫자로 구성된다. 이 번호를 통해 특정 효소가 어떤 종류의 생화학반응을 매개하는지 알 수 있다는 얘기다. 게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소 단백질 서열의 EC 번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면 효소 및 대사 관련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EC 번호를 ... ...
- [이강운의 곤충記] 기생충의 두 얼굴2019.06.19
-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 2019년 《캐터필러Ⅲ》를 썼다 ... ...
- SNS 게시글은 말한다. 당신이 당뇨에 걸릴 가능성 높다고동아사이언스 l2019.06.18
-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당뇨병과 고혈압,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우울증, 성매개감염병, 만성폐질환 등 21개 질환을 앓는 환자를 찾아내고 실제 병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당뇨병과 우울증, 불안장애를 비롯한 모두 18개 질환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성공했다. 예를 들어 '술(drink) ... ...
- [이강운의 곤충記]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지구의 근심 덜어줄까2019.06.05
-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 2019년 《캐터필러Ⅲ》를 썼다 ... ...
- [한영 리서치콘퍼런스]남북한 영국 과학두뇌 한자리에 동아사이언스 l2019.05.30
- 보다 심층적인 공동연구 기회를 도출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이라며 “IBS를 매개로 해외 석학과 국내 학계의 연계 활동이 강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영국왕립학회는 1660년 출범한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자연과학학회로 약 80여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IBS와 영국왕립학회는 201 ... ...
- 물질 기본입자 ‘쿼크’ 증명한 물리학자 머리 겔만 별세동아사이언스 l2019.05.28
- 니시지마가 제안한 양자수다. 기묘도는 강한 상호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매개되는 모든 과정에서 보존된다. 시그마나 에타 같은 '낯선' 입자는 기묘도가 -1또는 -2이고 양성자나 중성자처럼 기묘하지 않은 입자는 기묘도가 0이 되는 것이다. 1961년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유발 네만과 함께 ... ...
- 韓英석학들 모여 재료·신경과학의 미래 논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5.28
- 보다 심층적인 공동연구 기회를 도출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이라며 “IBS를 매개로 해외 석학과 국내 학계의 연계 활동이 강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제 4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IBS 콘퍼런스 공식 홈페이지(http://ibs-conference.org/2019/uk-korea)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이강운의 곤충記] 꽃가루 알레르기를 막는 방법2019.05.22
-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 2019년 《캐터필러Ⅲ》를 썼다 ... ...
- 日 신흥명문 OIST총장 “혁신생태계 만들려면 하이 트러스트 펀딩에 투자하라”2019.04.29
- 유대가 약하고 기초과학에서 나오는 연구성과를 실제 산업으로 이어줄 수 있는 매개고리가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은 삼성, 현대 등 대기업 중심의 산업 기반이 이미 잘 갖춰져 있다”며 “하지만 기초연구에서 나오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이를 활용하는 새로운 기업들이 보이지 ... ...
- [의학게시판] 춘천 '당뇨인 걷기대회 행사' 外동아사이언스 l2019.04.24
- 16%)과 강원 북부(8%)가 뒤따랐다. 특히 휴전선 접경지역에서 많이 발생한다. 말라리아는 매개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열원충이 전파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발열, 오한 등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의사에게 여행력 알리고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