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체
용체
물
처리액
조제액
물약
용제
뉴스
"
용액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담배 니코틴, 일반 담배의 최대 2.6배
동아일보
l
2015.05.20
작용을 하지만 독성이 있으며 중독성과 의존성을 유발한다. 전자담배는 액상 니코틴(
용액
)을 증기로 바꿔 흡입하는 원리의 제품이다. 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또 시중에서 팔리는 니코틴 액상 제품 25개를 대상으로 한 검사에서 10개 제품의 니코틴 함량 표시와 실제 함량이 ±10% 이상 차이를 ... ...
성게 모양 그래핀으로 ‘슈퍼 전지’ 만든다
2015.05.18
촬영했다. (a)는 성게 모양으로 식각되는 산화철 입자(왼쪽)와 실제 성게다. (b)는 산성
용액
의 처리 시간에 따른 형상 변화(왼쪽)와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그래핀 공이 구겨진 모습이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내셔널지오그래픽 제공 ... ...
지문에 남은 마약의 흔적, 즉석에서 확인
2015.05.18
성분이 땀으로 나온다. 연구팀은 지문을 대는 슬라이드에 이들 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
용액
을 뿌리는 방식으로 마약 복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땀에 남아 있는 코카인 대사 잔여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해 마약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간 마약 검사에는 혈액이나, 소변검사가 주로 ... ...
[담배, 아직 못 끊으셨나요]전자담배는 금연 보조제가 아닙니다
동아일보
l
2015.05.14
피우는 이들도 흡연 구역이 아닌 곳에서 담배를 피우다 단속에 걸리면 ‘니코틴 없는
용액
을 사용했다’고 우길 수 있다. 단속의 어려움과 흡연을 자극할 수 있는 행동이란 이유 때문에 지난해 10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총회에서는 니코틴 함유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지니는 에폭시 수지 재료에 물과 기름 모두에 섞이지 않는 과불화화합물이 들어있는
용액
을 채워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었다. 물은 물론 기름을 부어도 표면을 적시지 못하고 튕겨 나왔다. 그 뒤 연구자들은 SLIPS의 내구성 확보 등 상용화 연구를 진행했고 지난해 6월 SLIPS테크놀로지라는 회사는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연상되는 향이 나는 벤즈알데하이드를, 감지할 수 있는 한계보다 약간 낮은 농도로 탄
용액
을 제시하면 피험자들은 예상대로 아무 냄새도 나지 않는다고 답한다. 이때 역시 단맛을 느끼는 한계보다 약간 낮은 농도로 사카린을 탄 물을 입에 머금게 한 뒤(피험자는 맹물이라고 느낀다) 냄새를 맡게 할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다양한 재료를 개발 중이다. 김관표 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그래핀과 금 입자를 산성
용액
안에 넣으면 그래핀의 원자구조 형태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시안화금 나노와이어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 왼쪽부터 차례대로 박정원 미 ... ...
액체 상태의 나노물질 바로 ‘찰칵’
2015.03.24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ACS Central Science 제공 또 연구팀은 전해질
용액
에서 이온의 활발한 정도를 나타내는 ‘이온강도’에 따라 나노막대의 이동 특성이 달라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온강도가 낮을 때 나노막대는 뭉치려고 하지않는 반면 이온강도가 높아지면 서로 뭉치려는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직접 만나게 만들었기 때문에 전극을 투명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또 인쇄하듯 유기물
용액
을 이용해서 찍어내는 방식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조길원 교수팀의 연구 성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 - 포스텍 제공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든 물방울을 빠르게 충돌시켜 둘이 합쳐진 융합 물방울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산성
용액
을 만난 단백질에서는 말려있던 구조가 펼쳐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반응이 일어나는 도중 융합 물방울을 뜨겁게 달군 모세관으로 빨아들인 뒤 질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융합 물방울이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