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314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유전
자 변이 메커니즘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초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를 이끈 주영석 교수는 “전장
유전
체 빅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미지의 영역이었던 생명과학 현상을 규명할 수 있다”며 “암 발생 과정뿐만 아니라 인간의 배아 발생과정 및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변화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만 염기이고 단백질 지정
유전
자는 약 2500개로 밝혀졌다. 물론 우연이겠지만 게놈 크기와
유전
자 수 모두 이번에 제안된 루카의 범위에 들어간다. 참고로 대장균은 각각 460만 염기와 4200개이고 상용화된 설비에 쓰이는 아세토젠인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각각 450만 염기와 4100개다. 우드와 ... ...
단일세포서 분자 위치 정보 분석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단백체 등 다양한 분자 정보를 통합한 총체적인 정보를 가리킨다. 문제는 단백체는
유전
체와 달리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과정을 통해 양을 크게 늘리는 기술이 없어 단일세포 오믹스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 해외에서 고가의 질량분석 장비를 활용해 단일세포에서 수천 개의 단백체를 ... ...
반려견 실명 유발 불치병,
유전
자 검사로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유사하다고 밝혔다. 개에 대한 이 연구가 향후 인간에게서 발생하는 안구 질환과 관련한
유전
자 치료 표적을 찾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doi.org/10.3390/genes1507095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RNA와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발현을
유전
자 가위로 억제하는 작업을 한 뒤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 발현량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엔썬4(NSUN4)라는 단백질이 이중나선 RNA 발현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 RNA 구성물질 중 하나인 시토신의 ... ...
혈액 내 암 돌연변이
유전
자, 초고민감도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바이오칩의 센서는 혈액 내 표적 돌연변이
유전
자의 경우 형광신호를 증폭하고 정상
유전
자에 대해서는 형광신호를 억제해 검출 민감도가 향상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칩으로 1~4기 국내 폐암 환자 43명과 정상군 40명을 대상으로 임상 성능 평가를 진행한 결과 폐암 환자는 93%, 정상군은 100%의 ... ...
초파리 360종
유전
체 서열 규명...대규모 분류로 진화 단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확인시켰다. 연구팀은 “이제 한 실험실의 연구 예산만으로도 수백 또는 수천 종의
유전
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며 “이런 수준의 대규모 계통 분류는 전례 없는 수준의 미세한 분류로 다양한 동물종의 진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크게 향상시키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박테리아에서
유전
자 훔치는 동물…생존·번식 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찾는다는 점은 이번에 처음 확인했다. 연구팀은 “다른 어떤 동물도 이처럼 대량의
유전
자를 도둑질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로티퍼의 특징이 인체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았다. 항생물질은 현대 의료에서 필수적이지만 병원균들이 항생제에 ... ...
바이러스·세균 진화 규명…RNA 백신 개발 시 응용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따라 RNA를 합성하는 RNA 중합효소는
유전
정보가 DNA에서 RNA로 옮겨가는 ‘전사’라는
유전
자 발현 첫 단계를 수행한다. 전사 마무리 방식은 '해체종결’, ‘재생종결’ 등 두 가지가 있는데 세균은 물론 세균보다 진화한 진핵생물인 효모도 두 가지 전사 방식을 모두 사용한다. 사람도 진핵생물이기 ... ...
염증성 단백질 없애자 쥐 수명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다양한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도 급격히 활성화됐다. 인터루킨11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
자를 삭제하자 노화로 인한 신체 변화의 진행을 막을 수 있었다. 대사기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다양한 질병에 대한 인체의 방어기능이 개선됐다. 특히 수컷과 암컷 쥐 모두 수명이 24.9% 연장됐다. 바이러스나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