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철
지하철도
지하도
국철
뉴스
"
지하철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쇼핑몰 안에서 헤매지 마세요~ 실내 내비게이션이 있잖아요
2014.10.15
실내 내비게이션 기술을 이용해 서울
지하철
사당역에서 스마트폰으로 출입구를 확인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자동차 등을 운전할 때 실외에서 사용하는 내비게이션을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쇼핑몰이나 백화점 등의 넓은 실내에서 길을 찾기 ... ...
“싱크홀 탐사 레이더와 로봇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2014.09.24
지난달 서울 송파구에서 발생한 싱크홀과 2012년 2월 인천에서 발생한 싱크홀의 경우
지하철
공사가 원인이다. 반면 올해 6월 서울 영등포구와 2012년 부산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지하에 묻혀있는 관이 파손돼 생겼다. 김 실장은 “앞으로 지하 공간에 교통이나 인프라 시설을 계속 건설하며 싱크홀은 ... ...
서울 싱크홀 年 680건…
지하철
인근 지하수 수위 170cm 뚝
동아일보
l
2014.08.29
지하철
1·3·5호선이 교차하는 종로구 수송동 종묘공원 일대 지하수 수위는 23.9m였다.
지하철
을 개통하려면 땅속에 터널을 내야 하는데 이때 터널 벽을 통해 지하수가 스며 나와 이를 계속 퍼내기 때문에 지하수 수위가 낮아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땅을 깊이 뚫어야 해 지하수 유출이 ... ...
[이주의 과학신간] 필즈상 수상자의 고백
2014.08.17
책에 진솔하게 풀어 내기도 했다. 한편 책에서는 빌라니의 일상도 엿볼 수 있다.
지하철
을 탈 때 만화책을 읽고, 아이에게 아침을 차려주고 통학 버스까지 데려다주는 등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런 공통점은 빌라니의 이야기가 더욱 친숙하게 다가오도록 도움을 준다. 서해문집 제공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것이다. 2012년 인천
지하철
2호선 공사 중에 발생한 싱크홀이나 올해 2월 캐나다 오타와
지하철
공사 중에 발생한 싱크홀과 같은 이유다. 5일 서울 송파구에 발생한 싱크홀을 메우는 모습. - 동아일보DB 제공 다만 두 달 사이 이 지역에 싱크홀이 5개나 발생했다는 점에서 제2롯데월드 건설 공사의 ... ...
사고만큼 두려운, 반복되는 그날의 기억
2014.07.16
위험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만 해도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대구
지하철
사고, 최근에는 세월호 참사까지 대형 사고 및 재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심각한 외상을 보거나 직접 겪은 후에 나타나는 불안장애다. 외상적 사건들은 실제적인 죽음이나 ... ...
세월호 침몰,
지하철
화재…재난 막는 기술은?
과학동아
l
2014.05.30
최근 세월호 참사와 잇따른 화재를 계기로 재난에 대응하는 과학기술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재해재난의 예방과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은?"을 주제로 제77회 한림원탁토론회를 열었다. 제77회 한림원탁토론회의 모습. - 과학기 ... ...
전력선 없어도 고속열차 '쌩쌩'
과학동아
l
2014.05.21
있다는 것. 사람이나 새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최근
지하철
4호선 금정역에서 발생한 열차 폭발사고 역시 열차 천장에 장착돼 있던 전기절연장치가 폭발한 데 따른 사고였다. 또 전차선 설비가 사라지면 이와 관련된 유지 보수·교체가 불필요하고 터널 ... ...
지난 겨울 이상 폭우에도 런던이 침수하지 않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5.18
때 피해 규모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 킹 대사는 “미리 대비하지 않았다면 런던의
지하철
과 파이낸스센터 등이 침수돼 도시 전체가 마비됐을 것”이라며 “비용으로 환산하면 2000~3000억 파운드(약 3400~5100조 원) 정도의 손실을 막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어린 시절부터 ... ...
[기자의 눈] 현대문명의 역설과 팽목항의 어버이날
과학동아
l
2014.05.07
점이다. 배가 오뚜기처럼 중심을 잡고 다시 일어나는 복원력 기준을 지키지 않은 것도,
지하철
신호체계 모니터링 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도 모두 인간이었다. 물론 더 완벽한 형태의 과학기술력이 인간의 이 같은 부족함을 보완해 줄 날이 언젠가 올 수도 있다. 그러나 우선순위는 그 날에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