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
쪽
이 먼저일까
2023.03.08
단백질(iC++)은 파란빛에 반응해 통로가 열리며 빈맥으로 유발된 불안을 차단한다(오른
쪽
). 네이쳐 제공 ● 뇌섬엽이 허브 그렇다면 심박수 증가 정보가 뇌의 어디로 전달돼 불안이라는 감정을 일으켰을까. 빨간빛으로 심박수가 늘어났을 때 뇌의 활동을 조사한 결과 뇌간과 뇌섬엽의 활성이 ... ...
침엽수와 활엽수, 대기 오염물질 정화능력 높은
쪽
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제공 침엽수와 활엽수 중 어느
쪽
이 공기 중 오염물질을 잘 흡수하고 정화할까. 스웨덴 예테보리대 연구팀이 나무의 종류에 따라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능력과 정화하는 능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생태 지표‘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그동안 ... ...
[주말N수학] 허수 i는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3.03.04
우리가 수직선 상에 수를 표현할 때 자연수부터순으로 채우고 0을 기준으로 반대
쪽
에 음수를 채웁니다. 그다음 사이사이에 유리수와 무리수를 채우면 실수라는 직선이 완성되지요. 그런데 a + bi라는 복소수는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2개의 직선으로 표현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2차 평면이 나왔고, ... ...
미 에너지부 “코로나19, 中 연구소 유출 가능성 커” 백악관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WSJ 보도에 대해 이날 CNN에 출연해 "정보 당국에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일부는 한
쪽
으로 결론 내렸고 일부는 다른
쪽
"이라며 "지금으로선 정보 당국으로부터 나온 최종적인 답은 없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다수는 그들이 확신할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고 말한다"며 "대통령이 우리의 모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라는 학명을 지었다.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위턱 어금니(왼
쪽
)를 현생인류(오른
쪽
)와 비교해보면 이들이 왜 ‘호두까기 인간’이라는 별칭을 얻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치아 마모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호두처럼 딱딱한 음식은 거의 먹지 않았고 풀의 씨앗이나 덩이뿌리처럼 거칠고 ... ...
누리호·다누리 이어 K위성항법시스템 개발 '대장정' 키워드 국산화·민간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이라며 "개발에 성공하면 위성 시스템 운영 융통성이 확보된다”고 말했다. 다른 한
쪽
에선 항법신호 생성 및 송수신, 위성항법장비 등 위성 부품을 저가에 내놓기 위한 전략 회의도 진행됐다. LIG넥스원은 이 부품과 기술들을 이미 확보했거나 개발중이다. 40여년간 방위산업에 발을 ... ...
[기자의 눈] 학술지 중복게재, 한국의 관행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이쯤 되면 국제 학계의 원칙과 한국 학계의 관행은 왜 달라야 하는지 궁금증이 생긴다. 한
쪽
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지향하고 글로벌 스탠더드를 좇아야 한다고 입이 닳도록 이야기하면서 논문 중복 게재 만큼은 한국 학계의 관행이라며 중복 게재로 논문이 철회된 연구자를 옹호해야 하는 ... ...
달 먼지로 태양 가린다...우주로 눈돌리는 기후변화 대응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분석결과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내놨다. 기존 아이디어들처럼 지구에서 태양
쪽
으로 약 150만km 떨어져 있는 제1라그랑주점(L1)에 우주 차양막을 설치한다는 것은 동일하나 달의 먼지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구진은 또 달에 세워질 우주정거장이나 정착지에서 직접 달의 ... ...
개인마다 다른 손가락 지문 패턴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실제 연구팀이 손가락에 능선 무늬를 가진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WNT과 BMP 중 한
쪽
신호 경로를 인위적으로 억제했을 때 두 유전자의 신호가 반대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WNT는 세포 성장을 자극해 피부 외층에 융기된 돌기를 만드는 반면 BMP는 세포 성장을 억제해 파인 홈을 ... ...
건조한 계절이면 찾아오는 ‘알레르기 비염’ 치료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등이 지속될 경우 비중격 교정술 및 하비갑개 축소술도 고려된다. 하비갑개는 코의 바깥
쪽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뼈에 혈관위주로 구성된 점막 구조물이다. 서민영 고려대안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은 코막힘으로 인한 두통, 수면장애, 기억력 및 집중도 저하 등 삶의 질을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