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뉴스
"
필름
"(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나왔다
2015.01.08
말로 할로겐화 납, 메틸암모늄, 포름아미디늄 등 무기물과 유기물을 섞어 만든다. 얇은
필름
형태로 잘 휘어져 활용도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교해 제작비는 3분의 1 수준이다. 또 실리콘에 페로브스카이트를 첨가하면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을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없는(무극성) 무기 나노입자는 결정 모양이 균일하고 고농도로 합성할 수 있어 기능성
필름
소자 제작에 널리 쓰인다. 하지만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 같은 물질과 결합시키려면 입자 표면을 바꾸는 추가 과정이 필요하고 흡착량마저 낮은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추가 공정 없이 무극성 나노입자와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프랭크 카루소 호주 멜버른대 화학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나노미터(nm) 길이의
필름
으로 단일 세포를 코팅해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다가 원하는 시간에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미생물은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이 불리해지면 DNA 보존을 위해 세포외벽에 단단한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주형 틈새에 기능성 물질을 증착해 나노구조체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구조체와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면 인체 피부를 비롯한 다양한 표면 위에 인쇄할 수 있다. - KAIST 제공 팔만대장경을 모두 펼치면 축구장 하나 정도로 넓다.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이 정도 분량을 A ... ...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조명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ETRI가 개발한 OLED 외부광 추출
필름
의 모습. -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으로 제안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조명에 관한 기술이 전기분야 국제표준화 기구인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 ...
텅스텐 나노 분말로 방사선 완전 차폐
2014.10.20
텅스텐 입자가 나노미터(nmㆍ1nm는 10억 분의 1m) 크기로 촘촘해 차폐 능력이 뛰어나며
필름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차폐재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전신보호복, 갑상선보호대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전량 수입했던 의료용 방사선 차폐재의 수입을 대체하고 해외수출도 가능할 ... ...
세균온상 스마트폰 안심하고 쓰는 기술 개발됐다
2014.09.28
개발됐지만 가격이 비싸고 접착력이 약한 것이 단점이었다. 연구팀은 새로 아연나노
필름
을 개발해 실험한 결과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이 99% 이상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 2000번 이상의 문지르는 테스트에도 90% 이상의 투명도를 유지하는 등 내마모성도 강했다. 3개월 이상 공기 중에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많은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 일본 영상 예술가인 미나미 슌스케(南俊輔)의 ‘
필름
카메라의 디지털 현시’, 원자시계를 대중에게 알기 쉽게 해설한 김명호 작가의 웹툰도 전시 기간 내내 독특한 과학적 해석으로 관람객의 시선을 모았다. 전시회를 기획한 이다영 대전문화재단 매니저는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수개월 전 TV에서 황당한 뉴스를 봤다.
필름
까지 씌워진 최신 스마트폰 박스를 열었더니 스마트폰 대신 찰흙이 들어있다는 내용으로, 찰흙 무게까지 스마트폰에 맞춰 감쪽같이 속였다고 한다. 정품이 들어있는 몇 박스만 열어보고 수백 개를 주문한 수출업자는 억 대를 날려 회사가 망할 지경이라고 ... ...
나노입자로 암 진단하고 치료까지
과학동아
l
2014.08.05
상태로 존재하는
필름
을 만들었다. 그 다음 물분자가 이 틈새로 침투하는 특성을 이용해
필름
을 잘게 분쇄해 나노입자의 형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나노입자가 투입된 암세포에 808nm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나노입자로부터 방출된 열로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 - 중앙대 제공 박 교수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