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위논문"(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2015.07.07
- 올해 3월 별세한 고(故) 도윤경 울산과학기술대(UNIST) 교수. - UNIST 제공 올해 3월 난소암으로 44년 삶을 마감한 고 도윤경 울산과학기술대(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이 세계적인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 ‘셀 리포트’ 6월 30일 자에 실렸다. 포스텍 생명과학부 91학번인 도 교수는 국비장학생으로 2003 ...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2015.06.08
- 라이벌 주간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각각 목요일과 금요일 나온다. 필자는 습관적으로 목요일과 금요일 오전에는 사이트에 들어가 목록을 훑어본다. 5월 29일자 ‘사이언스’ 목록을 보다 기억에 대한 논문이 눈에 띠었다. 역시 습관적으로 저자 이름을 훑어보다가 마지막 저자(교신저 ... ...
- 여자는 여자다워야 한다?과학동아 l2015.05.28
- 필자가 공부하고 있는 미국 대학에서도 남녀 교수 비율이 꽤 차이가 난다. 특히 이공계는 한국과 비슷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반응은 대조적이다. 미국은 인구의 절반이나 되는 여성을 아직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회적 합의가 형성돼 있다. 반면 한국에서 간간히 ... ...
- 우리는 현역 검사, 그리고 디지털포렌식 전문가2015.05.15
- 올여름 서울대 수리정보과학과 1기 졸업생이 될 검사 3인방. 왼쪽부터 주민철, 이환기, 신교임 검사와 이들을 가르치는 김명환 수리과학부 교수. 이들은 “처음에 수학 수업을 들었을 때 ‘멘붕’에 빠졌었다”면서 “매주 치러지는 쪽지시험 덕분에 이제는 디지털포렌식에 필요한 웬만한 수학 개 ... ...
- 한국인 첫 日 이화학연구소(RIKEN) 종신 주임연구원2015.04.10
- “1996년 서울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도쿄에 여행을 왔어요. 원래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을 생각이었는데, 도쿄 여행이 계기가 돼 도쿄대로 유학을 왔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이화학연구소(RIKEN)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9일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시에 위치한 이화학연구소 본원에서 한국 ... ...
- 100년째 혁명 진행 중인 초전도 기술2015.04.05
- 하늬바람에 영글다 제공 ‘1, 30, 150 ’. 하나(1)의 연구 주제를 30년 동안 연구하면서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150편의 논문을 게재한 사람. 바로 김찬중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야기다. 초전도 연구에 평생을 바쳐 매년 평균 5편씩의 논문을 해외 유수 학술지에 게재한 ... ...
- UNIST, 개교 6년 만에 국내 교수 배출2015.03.22
- 최효성 박사(왼쪽)와 유승민 박사. -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대(UNIST)가 개교 6년 만에 첫 국내 교수를 배출했다. UNIST는 최효성, 유승민, 이정수 박사가 국내 대학에 교수로 임용됐다고 22일 밝혔다. 최효성 박사는 한양대 화학과, 유승민 박사는 울산과학대 환경화학공업과, 이정수 박사는 조선대 ... ...
- 세계 암호학 ‘핫 피플’ 된 수학도들2015.03.13
- “당신 말대로 해 보니 정말 암호가 깨지는군요! 축하합니다.” 지난해 10월 말. 서울대 수리과학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창민 연구원(26)은 세계 암호학계 석학들에게 자신의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e메일로 보냈다. 그리고 며칠 뒤. 세계 각지에서 답장이 날아왔다. 대부분 자신의 연구 결과 ...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2015.03.09
- [동아일보] UNIST를 명문대 반열로 끌어올린 조무제 총장 “8년 전 취임사에서 ‘UNIST를 한국의 MIT(미국 매사추세츠공대)로 만들겠다’고 하자 모두가 웃었죠. 사실 저도 선언적인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정말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한국 대학이 MIT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2015.02.22
- 과학동아(일러스트 김정훈) 제공 영화 ‘매트릭스’에는 저항군 지도자 모피어스가 주인공 네오에게 빨간 알약과 파란 알약을 내미는 장면이 나온다. 파란 알약을 먹으면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이대로 사는 거다. 하지만 네오는 빨간약을 선택하고, 매트릭스를 벗어난다. 세상은 실재하는 것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