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실제 원자로 흉내 낸 실증 장비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 기술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1월호에 표지
논문
으로 게재됐다고 17일 밝혔다. 전고체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화재와 폭발 위험이 낮은 고체로 대체한 것이다. 기존에는 리튬금속으로 음극을 써왔는데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수록 ...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검사 방식 변경 논란 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타액을 채취하는 것이 감염 여부 판별에 훨씬 효율적이라는 연구결과를 지난달 24일 의학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델타 변이의 경우 비인두 검사에 비해 구인두 검사 효율이 30% 가량 떨어졌지만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구인두 검사 효율이 14% 정도 더 뛰어났다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분리되면서, 과학자의 작업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동떨어져버렸지만, 과학자들은 어려운
논문
과 실험에 파묻혀 살면서도 언제나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이웃으로 존재한다. 어쩌면 돌연변이와 유전자에 투영된 희한한 이름들은, 우리 곁에서 살고 있는 평범한 보통과학자들이 세상에 보내는 ... ...
미 연구팀 "대마 추출물, 코로나19 감염 억제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이를 적용해 대마 화합물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응 효과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
을 11일(현지시간) 미국 약리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천연물(Journal of Natural Products)’에 공개했다. 대마는 섬유나 식품 및 동물 사료로 쓰인다. 국내에서는 삼베 생산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대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메탄이 이렇게 문제일 줄이야
2022.01.12
5% 수준이지만 CO2e로 환산하면 GWP100에서는 125%이고 GWP20에서는 4.3배나 된다. 저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앞으로 CCS 부지를 선정할 때는 미생물의 메탄생성 과정을 고려해 장기간 저장해도 위험성이 낮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화석연료 가운데 가장 매력적인 메탄이 온실가스로서는 ... ...
[랩큐멘터리] 사각지대에서 생명의 신호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움직이는 아바타 앵커 기술을 개발하기도 했다. 서 교수는 “실제적 구현을 중시하면서
논문
보다도 특허가 많은 것이 가장 자랑거리”라면서 “기술이 그냥 쓰이는 데 그치지 않고 사람을 구하거나 국민 안전을 지키는 데도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스텍 모바일 네트워킹 연구실 ... ...
흙 1t당 120g…달에 물 존재 첫 '현장증거' 확인
연합뉴스
l
2022.01.10
Advances)에 실은
논문
에서 달 표면 흙과 암석에서 물과 관련된 징후를 감지했다고 밝혔다.
논문
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2월 달에 도착하고 나서 계속 활동 중인 창어 5호의 착륙선이 광물학 분광계를 이용해 달 표면의 흙과 암석 샘플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흙과 암석 내 물 함유 비율이 각각 120ppm ... ...
[프리미엄 리포트]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로 가는 길은 '산넘어 산'
과학동아
l
2022.01.08
프로젝트는 점점 분석 수를 늘려 2020년 5월에는 한국인 1094명의 게놈을 해독한 결과를
논문
으로 발표했고, 지난해 4월에는 초기 목표였던 1만 명 게놈 해독을 완료했다. 게놈 코리아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박 교수는 “게놈 분석 수가 늘면 늘수록 질병을 진단하는 능력은 정확해진다”며 “한국도 ... ...
코로나 백신 mRNA 기술로 '심장 섬유증' T세포 치료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1.07
그런데도 심장의 섬유증이 확연히 줄고 심장의 크기와 기능도 거의 정상을 회복했다.
논문
의 수석저자인 엡스타인 교수는 "나중에 이 기술은 막대한 의료적 부담을 덜어낼 수 있는, 확장과 적용이 모두 가능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2022.01.06
고양이라는 유명한 사고 실험을 제안했다. 위키피디아 제공 슈뢰딩거의 결과는 이듬해에
논문
으로 발표되었다. 슈뢰딩거 방정식은 물리학자에게 대단히 익숙한 미분방정식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어떤 물리계의 총 에너지를 기술한다. 이 방정식의 풀이에 해당하는 함수를 파동함수라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